[상보] 뉴욕증시, 금리 인하 기대 속 혼조세…S&P500·나스닥 사상 최고

입력 2024-06-14 06:5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5월 PPI 예상치 하회
고용 지표도 냉각 신호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가 주가를 살피고 있다. 뉴욕(미국)/AFP연합뉴스

뉴욕증시가 13일(현지시간) 미국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 속에서 혼조세를 나타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65.11포인트(0.17%) 내린 3만8647.10에 장을 마감했다. S&P500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2.71포인트(0.23%) 오른 5433.74에, 나스닥지수는 전장 대비 59.12포인트(0.34%) 상승한 1만7667.56에 거래를 끝냈다. S&P500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이날도 사상 최고치를 나란히 다시 썼다.

이날 발표된 지난달 미국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예상보다 낮게 나오면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5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월 대비 0.2% 하락해 다우존스통신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0.1% 상승)를 밑돌았다.

또 이날 발표된 주간 실업보험 청구 건수도 시장 전망치를 웃돌면서 고용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지난 8일로 끝난 한 주간 실업보험 청구 건수(계절 조정치)는 직전 주보다 1만3000명 늘어난 23만2000명을 기록했다.

연준이 전날 점도표를 통해 올해 단 한 차례의 금리 인하를 시사했음에도 시장은 여전히 연 2회 인하 가능성을 보고 있다.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연준이 올해 9월 한차례 금리 인하를 단행한 뒤 11월에 또 내릴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CME그룹의 페드와치툴에 따르면 미국 연준이 9월 기준금리를 25bp(1bp=0.01%포인트) 내릴 확률을 60.5%로 반영했다. 또 연준이 12월 기준금리를 내릴 확률은 44.2%로 나타났다.

다만 일각에서는 미국 경기 둔화에 대한 경계심이 나타났다. 잉글스 앤 스나이더의 팀 그리스키 수석 포트폴리오 전략가는 일련의 경제 지표에 대해 “미국 경기가 둔화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기업 실적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에 경기민감주나 소비 관련주에 매도세가 유입됐다. 다우지수는 이날 한때 하락 폭이 300포인트를 넘어섰지만 주력주에 대한 매도세가 일단락되면서 하락 폭이 축소됐다.

업종별로는 기술 관련주가 1%대 올랐다. 필수소비재, 부동산, 유틸리티 관련 지수도 강세를 나타냈다. 임의 소비재, 에너지, 금융, 헬스, 산업 소재 관련 지수는 하락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 거래일 대비 0.10포인트(0.83%) 내린 11.94를 기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