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운용 인도법인, 운용자산 30조 돌파, 박현주 회장의 글로벌 질주

입력 2024-06-13 10:20수정 2024-06-13 12:5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진=미래에셋자산운용)

미래에셋운용 인도법인, 운용자산 30조 돌파, 박현주 회장의 글로벌 질주

“글로벌시장에서 아직 너무 많은 갈증을 느낀다. 미래에셋은 벽을 문으로 바꾸듯이 금융에 새 길을 여는 영원한 혁신가가 되겠다.” 2017년 미래에셋그룹 창업 20주년 행사에서 박현주(사진) 회장이 한 말이다.

글로벌 투자은행(IB)과 어깨를 나란히 하겠다는 박현주 회장이 꿈에 한 발 더 다가섰다. 해외 IB들의 각축장인 인도시장에서 운용자산(AUM) 30조 원을 넘겼다. ‘넥스트 차이나’로 불리는 인도시장은 박 회장의 글로벌 영토확장 꿈의 초석과 같은 곳이다. 2008년 1호 펀드를 시작으로 덩치를 키워 온 미래에셋자산운용 인도법인은 현재 인도 내 유일한 독립 외국자본 운용사다.

13일 미래에셋자산운용에 따르면 인도법인은 펀드 38개, 상장지수펀드(ETF) 20개 등 총 58개 펀드를 운용하고 있다. 이는 인도 현지 운용사 중 9위 수준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 인도법인의 운용자산 규모는 최근 5년간 3배가량 증가했다. 2020년 말 기준 10조5000억 원이었던 운용자산은 2021년 말 17조8000억 원, 2022년 말 20조 원, 2023년 말 25조8000억 원까지 늘었다. 이 기간 리테일 고객 수(계좌 수)는 280만 명에서 620만 명으로 증가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 인도법인은 주식형 펀드에 이어 채권형 펀드와 주식 및 채권, 원자재 등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하는 혼합형 펀드 등을 선보이고 있다. 연초 이후 지난달까지 채권과 혼합형 펀드에 유입된 자금은 총 1조3000억 원이다. 지난해 연간 유입액의 3배에 달하는 규모다.

ETF도 지난달 말 기준 순자산 총합 약 1조3000억 원으로 10억 달러를 돌파하며 유의미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미래에셋운용 인도법인은 2018년 ‘Mirae Asset Nifty 50 ETF’를 상장하며 인도 ETF 시장에 진출했으며, 올해는 전기차·AI 등 다양한 혁신 테마형 ETF 상품을 준비하고 있다.

특히 인도법인의 두바이지점은 개소 2년 만에 운용자산 규모가 4000억 원을 넘어서기도 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022년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 지점을 설립하며 국내 운용사 최초 중동 지역에 진출했다.

스와럽 모한티 미래에셋자산운용 인도법인 최고경영자(CEO) 부회장은 “인도 현지에서 활약하고 있는 미래에셋그룹이 함께 시너지를 발휘해 인도 현지에서 혁신 성장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근 미래에셋의 글로벌 성장세는 글로벌 경영을 주도해온 박현주 회장의 도전정신과 리더십이 크게 작용한 결과라는 평가다. 박 회장은 2003년 ‘내가 실패하더라도 한국 자본시장에 경험은 남는다’며 해외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바람이 불지 않을 때 바람개비를 돌리는 방법은 앞으로 달려나가는 것뿐”이라는 게 그의 지론. SK생명(2005년)·대우증권(2015년) 인수도, 영국··미국·아랍에미리트·인도 등 전 세계 16개국 진출도 그런 신념으로 밀어붙였다.

미래에셋자산운용 관계자는 “1등 투자전문그룹으로서 대한민국 국민들과 고객들의 부(副) 의 증진과 풍요로운 노후에 기여하는 사회적 책임과 소명을 다하겠다. 미래에셋그룹은 사업 초격차를 확보하고, 글로벌 탑티어(Global Top-tier) IB로 도약하기 위한 도전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현주 회장의 도전은 이제 시작이다.

윤혜원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