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구조적 요인으로 저물가 지속 전망…수요 측 부양 필요”[차이나 마켓뷰]

입력 2024-06-13 07:4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출처=삼성증권)

삼성증권은 중국의 저물가 현상은 일시적, 경기적, 구조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며, 구조적 요인으로 저물가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므로 공급이 아닌 수요 측면의 부양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중국의 지난해 소비자 물가는 전년 대비 0.2% 상승하는 데 그쳤으며, 올해 1분기에는 9%, 4월과 5월에는 전년 동기 대비 0.3% 오르는 데 그쳤다.

금종호 삼성증권 연구원은 “이는 식품·에너지 가격 급등락 등 일시적 요인과 부동산·제조업 경기 부진 등 경기적 요인 때문”이라며 “아울러 투자와 생산에 의존적인 경제성장 방식에서 비롯된 구조적인 요인들도 물가에 하방압력을 가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은 정부와 국유기업이 경제 활동에 강한 통제권을 갖고 있으며, 그에 따라 가계의 소득분배율이 다른 주요 지역보다 낮다”며 “과거 많은 투자가 필요했을 때는 이러한 분배구조가 정당화됐으나, 현재는 가계 소비 여력을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사회 보장 제도 부족으로 가계의 예비적 저축 동기가 강해 소비성향도 낮은 수준”이라고 짚었다.

이어 “반면에 중국 정부는 수요보다 제조업 고도화 등 공급 측면을 중시하고 있다”며 “수급불균형으로 저물가 현상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중국은 중앙정부의 과감한 재정지출과 큰 폭의 금리 인하가 필요하며, 부동산 부실을 정리하고, 직간접적으로 가계 소득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금 연구원은 “추후 일시적, 경기적 요인은 관련 품목의 가격 회복, 경기 둔화세 진정 등으로 개선 될 것”이라면서도 “이러한 개선세가 중국 경기 전반의 기조적인 회복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그는 “가계소득 및 수요는 부족하나 공급은 과다하다는 구조적인 문제도 소비자물가에 하방압력을 가하고 있다”며 “공급측에 문게를 둔 정책기존에 따라 중국 저물가 현상은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저물가는 경제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중국 ᅟᅥᆼ부는 과감하게 정책을 펼쳐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