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금융대전] 김동엽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상무 "노후생활 설계, 절약보다 전략이 중요"

입력 2024-06-13 13:5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김동엽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상무가 13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11회 대한민국 금융대전에서 ‘당당한 노후생활 설계’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이투데이가 '부동산 자산관리 인사이트; 지피지기 백전불태'를 주제로 개최한 대한민국 금융대전은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다양한 금융지식과 전략적인 투자방법을 모색함으로써 개인 금융자산관리의 역량을 향상하고 미래를 더욱 안정적으로 대비할 기회를 제공하는 자리다. 신태현 기자 holjjak@

“노후생활 설계는 절약보다 전략이 중요하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평탄한 삶을 원하지만 돌을 만나면 터널을 뚫고, 물을 만나면 다리를 놓아야 한다.”

김동엽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상무는 13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11회 대한민국 금융대전'에서 '당당한 노후생활 설계'를 주제로 한 강연을 진행하며 이같이 말했다.

김 상무는 편안한 노후를 보내기 위한 필수 조건으로 곳간형 자산과 우물형 자산을 꼽았다.

곳간형은 예금, 주식, 채권, 부동산처럼 쌓아두는 형태의 자산이다. 자녀 결혼, 해외여행, 의료비 등 목돈이 들어가는 곳에 쓰인다.

우물형은 매달 꼭 필요한 생활비에 쓰이는 현금 흐름을 창출하는 자산이다. 국민연금, 퇴직연금, 주택연금 같은 연금상품이 대표적이다.

김 상무는 행복하고 편안한 노후를 위해서는 우물형 자산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가 언제 죽을지 모르기 때문에 우물이 없는 상태에서 곳간이 비면 노후가 힘들어질 수밖에 없다”며 “현재 시점에서 한 달에 얼마 정도를 생활비로 쓰는지 등 자가진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상무에 따르면 서울시에 거주하는 부부의 노후생활비는 최소 월 232만 원이다. 양질의 삶을 지향한다면 적정 노후생활비는 월 330만 원으로 늘어난다. 광역시 기준 부부의 최소 노후생활비는 203만 원, 적정 노후생활비는 279만 원이다.

은퇴 후 자금을 마련한 창구가 없다면 우선적으로 본인과 배우자가 수령할 연금의 종류를 파악해야 한다. 본인이 수령할 연금의 종류를 파악하지 못했다면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을 활용하면 된다.

주택연금으로 눈을 돌려도 된다.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의 가치 하락이 전망되면 주택연금을 통해 자산을 현금화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김 상무는 "받을 연금의 종류와 월 수령액을 확인했다면 ‘현금흐름표’를 만들어야 한다"면서 "퇴직 후 국민연금을 받기 전까지의 소득 공백기에 대비하려면 꾸준한 현금 흐름부터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라고 했다.

이어 “오늘은 어제의 내일이다. 실천으로 옮겨야만 조금 더 나은 내일을 만들 수 있다”며 “생애주기별 수령 가능한 현금흐름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노후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