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생큐 애플” 뉴욕증시, FOMC 결과 앞두고 기술주 강세에 혼조...나스닥 역대 최고

입력 2024-06-12 07:43수정 2024-06-12 07:5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5월 CPI·FOMC 회의 결과 앞두고 ‘관망모드’ 유지
애플 7%대 급등, 기술주 강세 견인
10년물 국채금리 7bp 하락도 기술주에 호재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8일(현지시간) 트레이더가 주가를 살피고 있다. 뉴욕(미국)/로이터연합뉴스

뉴욕증시는 11일(현지시간) 혼조 마감했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 회의 결과 발표를 하루 앞두고 올해 금리 인하 횟수가 줄어들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 가운데 미국 국채금리 하락과 애플의 주가 급등 영향으로 기술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됐다. 이날 S&P500지수와 나스닥은 또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20.62포인트(0.31%) 내린 3만8747.42에 마감했다. S&P500지수는 14.53포인트(0.27%) 오른 5375.32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51.02포인트(0.88%) 뛴 1만7343.55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뉴욕증시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와 FOMC 결과 발표를 하루 앞두고 경계감이 고조됐다. 이에 대형주와 은행주 위주로 매도세가 유입되면서 다우지수가 장 초반 큰 폭으로 하락했다. 그러나 미국 국채 금리가 상승하면서 오후 들어 다우지수 낙폭이 줄어들었고 기술주 중심으로 나스닥과 S&P500지수가 상승세로 마감했다.

시장은 현지시간으로 12일 오전 8시 30분께 나올 5월 CPI와 오후 2시에 발표되는 FOMC 정례회의 결과에 주목하고 있다.

야후 파이낸스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5월 CPI가 전년 동월 대비 3.4% 상승해 전월과 같은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동기 대비 3.5% 상승해 직전월인 4월 상승률(3.6%)을 소폭 밑돌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주 미국 고용지표가 강하게 나온 만큼 인플레이션이 조금이라도 둔화한 모습을 보인다면 시장에 안도감이 형성될 수 있다. 시장에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번 FOMC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보고 있다. 관건은 연준 위원들의 향후 금리전망을 보여주는 점도표와 연준의 경기 판단이다.

현재 상당수 전문가는 연내 단 한 차례의 금리 인상을 점치고 있다. 당초 연준은 점도표를 통해 올해 세 차례 금리 인하를 예상했으나 인플레이션 둔화세가 정체되면서 시장에서는 3회 금리 인상론이 힘을 잃기 시작했다. 이번 FOMC에서 점도표가 올해 2회 이하의 인하 횟수를 시사할 경우 금리 인하 기대는 힘을 받기 어려워진다.

이날 국채금리가 크게 하락하면서 기술주에는 호재로 작용했다. 이날 10년 만기 미국 국채금리는 전일 대비 7bp(1bp=0.01%포인트) 하락한 4.40%를 기록했다. 미국 재무부가 이날 실시한 10년 만기 국채 입찰에서 견조한 수요가 나타난 영향이다. 유럽의회 선거 이후 유럽 정치적 불안감이 커지면서 상대적으로 미국 국채 수요도 커졌다고 블룸버그는 분석했다.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 국채금리는 5bp 내린 4.83%를 나타냈다.

종목별로 살펴보면 애플이 7% 넘게 급등하면서 나스닥과 S&P500지수 상승세를 견인했다. 애플 주가는 전일 1%대 하락했으나 하루 만에 급반등해 종가 207.16달러로 역대 최고가를 경신했다.

애플은 전일 개막한 세계개발자회의(WWDC)에서 이른바 애플 판 인공지능(AI)인 ‘애플 인텔리전스’를 공개했다. 또 애플의 음성 비서인 ‘시리’에 새로운 AI 기능을 추가하고 iOS에 챗GPT를 심는 방안 등을 발표했다.

전일 10대 1 액면분할을 시작한 엔비디아는 이날 0.7% 하락했다. 제너럴모터스(GM)는 이날 60억 달러 규모 자사주 매입을 발표하면서 1%대 상승세를 보였다. 보잉은 민간 항공기 수주가 크게 줄었다는 소식에 2.43% 하락했다.

국제유가는 2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7월물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0.16달러(0.2%) 오른 배럴당 77.90달러에 마감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8월물 브렌트유는 0.29달러(0.4%) 상승한 배럴당 81.92달러로 집계됐다. 석유수출국기구(OPEC)가 월간 보고서에서 올해 원유 수요 증가 폭과 내년 전망치를 유지한 영향이다.

미국 달러화는 대체로 강세를 보였다.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일 대비 0.10% 오른 105.25를 나타냈다.

가상자산(가상화폐)는 하락세를 나타냈다. 코인마켓캡에서 한국시간 12일 오전 7시 35분 현재 비트코인은 24시간 전 대비 3.03% 하락한 6만7355.51달러를 나타내고 있다. 이더리움은 4.65% 떨어진 3499.59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