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캐즘 극복하려면…"보조금 확대와 소비자 인식개선 필요"

입력 2024-06-11 14:39수정 2024-06-11 14:4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KAMA, 전기차 수요 부진 극복 위한 방안 논의
"보조금 확대 등 획기적인 인센티브 정책 필요"
전기차 안전 등에 대한 비보유자의 인식 부정적
"전기차에 대한 소비자의 부정적 인식개선 시급"

▲강남훈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 회장은 11일 서울 서초구 자동차회관에서 열린 친환경차분과 전문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KAMA)

국내 전기차 수요 둔화가 이어지는 가운데 보조금 확대 등 지원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화재 안전성과 충전 불편 등 전기차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정적 인식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강남훈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 회장은 11일 서울 서초구 자동차회관에서 열린 친환경차분과 전문위원회에서 “전기차 수요 부진으로 인한 전동화 전환 동력 상실을 막기 위해서는 향후 2~3년 동안 한시적으로 전기차 보조금을 2022년 수준으로 유지하고, 충전요금 할인 특례를 부활시키는 등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획기적인 인센티브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강 회장은 “전기차에 대한 일반 국민의 오해와 편견을 바로잡는 인식개선 활동도 매우 중요하다”며 “실제로 전기차 화재 안전성 우려, 충전 불편과 같은 부정적 인식 등 전기차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비사용자가 사용자보다 더 크게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11일 서울 서초구 자동차회관에서 친환경차분과 전문위원회가 개최됐다. (사진제공=KAMA)

김성태 전기차사용자협회 회장은 최근 10년 이내 승용차를 구매해 운행 중인 차주(전기차 보유자 128명·비보유자 401명) 52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기차 만족도는 보유자의 경우 90.6%에 달했지만, 비보유자는 67.4%에 그쳤다고 밝혔다.

비보유자를 대상으로 전기차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를 묻자 ‘화재나 급발진 등 부정적 소식이 많아서’가 54.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충전 인프라 부족’(48.3%), ‘장거리 운행 애로’(34.1%) 순으로 꼽았다.

전기차의 화재와 급발진 사고 빈도에 대한 인식도 전기차 보유 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내연기관차 대비 전기차 화재·급발진 사고 빈도가 더 높다’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는 전기차 보유자는 24.2%만 그렇다고 응답한 반면 비보유자는 55.2%가 그렇다고 답했다.

전기차 시장 확대를 위해 해결돼야 할 문제로는 ‘안전에 대한 불안감 해소’를 꼽은 응답이 23.4%로 가장 많았다. 이어 ‘배터리효율 및 주행거리 증가’(18.3%), ‘충전 인프라 확대’(17.2%) 순으로 나타났다.

김 회장은 “전기차 사용자보다 비사용자의 전기차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전기차 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전기차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비자 인식개선 활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연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는 ’총소유비용 분석을 통한 내연기관 대비 전기차의 경제성 분석 결과‘ 발표에서 “2021년 기준 전기차의 총운영비용이 내연기관차 대비 약 650만 원 우위”라며 “하지만 매년 보조금의 지속적 감소, 충전요금 할인 특례 일몰 등으로 전기차의 경제성 우위 효과가 약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공급망 교란에 따라 배터리 비용의 하락세가 둔화돼 차량 가격 인하가 어려워지는 상황까지 고려한다면 전기차의 총운영비용 경쟁력은 더 낮아질 가능성도 우려된다”며 “전기차 캐즘 극복을 위해서는 전기차 보조금 증액, 충전요금 할인 등 경제성의 확실한 우위 확보가 필요하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