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수출 증가세로 경기 다소 개선…고금리에 내수 회복은 아직"

입력 2024-06-11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KDI, 6월 경제동향 발간

"반도체 수출 증가세 유지…장기 고금리에 부채상환 부담↑"

(연합뉴스)

국책연구기관 한국개발연구원(KDI)은 11일 우리 경제 상황에 대해 수출 증가세로 경기가 개선되고 있지만 내수 회복은 아직이라고 분석했다. 반도체 중심의 수출 회복세가 경기 개선 흐름을 이끌고 있는 반면, 고금리가 내수 회복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KDI는 이날 발간한 '6월 경제동향'에서 "높은 수출 증가세로 경기가 다소 개선되고 있지만 내수는 회복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리 경제가 3월의 일시적 생산 둔화에서 벗어나는 가운데 수출 회복세도 유지되면서 경기 부진이 완화하는 흐름이라고 봤다. 4월 전산업생산(0.1%→3.1%)은 대부분의 산업에서 전월 부진이 완화하면서 증가폭이 확대됐다. 제조업의 경우 내수출하(-7.9%→0.9%)가 낮은 증가세에 그쳤지만, 반도체·자동차를 중심으로 수출출하(1.2%→7.9%)의 전월대비 증가폭이 크게 확대됐다. 5월 수출은 1년 전보다 11.7% 증가했으며 전월(13.8%)에 이어 양호한 흐름을 이어갔다.

특히 반도체 등 IT 품목이 높은 수출 증가세를 보였다. 국가별로는 일평균 기준으로 대미 수출(21.6%→12.9%)이 호조를 이어갔고 중국(7.5%→5.1%)도 반도체를 중심으로 완만한 증가세를 보였다 반도체 수출은 113억8000만 달러로 전년동월대비 54.5% 늘었다. 반면 수입(5.4%→-2.0%)은 주요 에너지자원 증가폭(15.8%→3.8%)이 축소된 가운데 내수 부진 영향에 따른 소비재 수입액 위축(3월 -11.9%· 4월 3.3%·5월 -20.4%)으로 감소 전환했다. 무역수지는 49억6000만달러 흑자로 41개월 만의 최대치를 썼다.

높은 수출 증가세가 경기 부진을 완화하고 있지만, 내수는 고금리에 따른 소비 여력 약화로 부진이 장기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상품소비와 밀접한 소매판매액(-3.4%→-2.6%)은 감소세를 지속했고, 계절조정 전월대비로도 1.2% 감소하며 부진했다. 서비스소비와 밀접한 숙박·음식점업(-2.4%), 교육서비스업(-1.1%) 생산이 감소세를 보였고, 5월 소비자심리지수(98.4%)도 기준치(100)를 밑돌았다.

설비투자도 기계류 중심의 부진한 흐름을 지속했다. 4월 설비투자(-4.5%→-2.3%)는 전월에 이어 감소세를 이어갔고, 기계류 수입 감소세도 유지되는 등 선행지표도 부진했다. 5월 기계류 수입액(-7.3%→-17.5%)은 운송장비(0.0%→-26.1%)를 중심으로 급감했으며, 반도체제조용장비(-36.0%→-27.9%)도 3월 이후 부진을 이어갔다.

건설투자도 둔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4월 건설기성(건설업체의 국내 공사 현장별 시공 실적·불변)은 전월 대비 0.8%의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주택인허가(2만8000호)는 최근 3년 평균(4만1000호)의 69% 수준에 머물렀고, 건설수주는 계절조정 기준 14조1000억원으로 최근 1년 평균인 13조9000억원을 소폭 상회하는 데 그쳤다.

물가는 고금리가 지속되면서 수요 측 물가상승 압력이 낮은 가운데 공급 측 압력도 완화하면서 둔화 흐름이 유지되고 있다. 5월 소비자물가는 상품(3.8%→3.2%)의 가격 상승세가 크게 둔화되며 전월(2.9%)보다 낮은 2.7% 상승률을 기록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 2.8%에서 2~3월(3.1%) 3%대로 올랐다가 4월부터 두 달 연속 2%대를 기록했다.

다만 고금리 장기화로 가계·개인사업자 부채 상환 부담은 가중되고 있다. 개인사업자 연체율(3개월 이동평균, 0.55%→0.57%), 가계대출 연체율(0.38%→0.39%) 모두 장기평균을 상회하는 수준에서 상승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 KDI는 고금리를 내수 부진의 주 요인으로 지목했다.

KDI는 "세계경제가 완만한 성장세를 유지하면서 대외 여건이 일부 개선됐고, 이에 따라 반도체 수출의 강한 회복세가 유지됐다"면서도 "그러나 내수는 고금리 기조가 유지되면서 회복세가 가시화되지 못하는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서비스업 둔화에도 제조업 회복세에 따른 취업자 수 증가폭 확대 등 고용 여건은 양호했다. 4월 취업자 수는 전월(17만3000명)보다 확대된 26만1000명 증가했다. 서비스업(15만6000명→14만9000명) 등이 둔화했지만 제조업(4만9000명→10만명) 증가폭이 확대됐고 농림어업(-5만명→0.5만명) 등 부진도 완화했다. 계절조정 고용률은 30대(79.8%→80.2%)·40대(78.8%→79.2%)를 중심으로 전월대비 0.1%포인트 올랐고 계절조정 실업률도 2.8%로 낮은 수준이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