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하기 힘드네"…고금리 장기화로 창업기업 9개 분기째 감소세

입력 2024-06-11 10:0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숙박 및 음식점업 12.1%·부동산업 11.5%·건설업 7.2%↓

▲서울 시내 한 전통시장이 비교적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고금리가 지속되고, 투자 둔화 현상까지 나타나면서 창업하려는 사람이 줄어들고 있다.

1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올 1분기 창업기업은 30만6000개로 지난해 동기 대비 8.1% 줄었다. 이로써 2022년 1분기부터 9개 분기 연속 감소세가 지속했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이 27만1000개로 7.9% 줄었고 건설업은 1만6000개로 7.2% 감소했다. 제조업은 9100개로 10.2% 줄었다.

서비스업 중 도소매업은 11만6000개로 7.2% 줄었고 숙박 및 음식점업은 3만6000개로 12.1% 감소했다. 또 정보통신업(1만 개) 23.2%,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6400개) 12.2%, 부동산업(3만1000개) 11.5% 각각 줄었다.

기술 기반 업종 창업기업도 5만6000개로 10.4% 감소했다.

올해 1분기 부동산업을 제외한 창업기업은 27만6000개로 지난해 동기보다 7.8% 줄었다. 이 경우에는 지난해 2분기부터 4개 분기 연속 감소세가 이어졌다.

부동산업을 제외한 수치를 별도로 보는 것은 2020년 소득세법 개정에 따른 연 2000만 원 이하 주택임대소득자 사업자 등록 의무화로 부동산업 창업기업이 한때 급증했다가 이후 급격히 줄어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한 것을 고려한 것이다.

전체 창업기업 중 기술 기반 창업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8.3%로 지난해 동기 대비 0.5%포인트 낮아졌다.

창업기업을 나이별로 보면 40대가 7만9000개로 25.8%를 차지해 가장 많고 30대(24.7%), 50대(21.4%), 60세 이상(15.2%), 30세 미만(12.6%), 기타(0.3%) 순으로 뒤를 이었다.

부동산업을 제외할 경우 30대(26.1%)가 40대(26.0%)를 소폭 앞서 1위였고 이어 50대(20.4%), 60세 이상(13.6%), 30세 미만(13.6%), 기타(0.3%) 순이었다.

1분기 부동산업 제외 시 60세 이상 창업기업은 3만8000개로 역대 가장 많았다. 비중도 13%를 처음 넘었다. 인구 고령화로 창업 고령화 추세도 나타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