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푸틴 대통령, 이르면 6월 북한ㆍ베트남 순방

입력 2024-06-10 15:1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집권 5기 출범 맞춰 외교전 확대
작년 9월 이후 9개월만에 김정은 다시 만나
방북은 24년 만에 처음

▲블라디미르 푸틴(가운데) 러시아 대통령이 작년 9월 아무르주 스보보드니에 있는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김정은(오른쪽)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나고 있다. 스보보드니(러시아)/AFP연합뉴스

집권 5기를 맞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이르면 이달 북한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러시아 매체 베도모스티 보도를 인용해 이같이 전하면서 푸틴 대통령이 수주 안에 북한에 이어 베트남까지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알렉산드르 마체고라 북한 주재 러시아 대사는 베도모스티와의 인터뷰에서 “푸틴 대통령의 평양 방문이 성사될 것”이라며 “우리는 적극적으로 준비 중”이라고 확인했다.

푸틴 대통령이 북한을 찾으면 대통령 취임 첫해인 2000년 이후 24년 만의 방북이다. 크렘린궁은 “러시아가 모든 분야에서 파트너십을 구축하기를 원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군사 분야에서 협력을 한층 강화하는 것 이외에도 러시아가 북한에서 이주 노동자를 데려오는 것을 논의할 가능성도 있다고 베도모스티는 전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심각한 노동력 부족을 겪고 있다.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부 차관은 지난달 30일 “푸틴 대통령의 북한 방문이 진전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밝혔다. 같은날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도 푸틴 대통령의 방북과 관련해 “때가 되면 발표하게 될 것”이라며 방문이 임박했음을 암시했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달 7일 집권 5기를 공식 시작한 이후 국제적 고립을 탈피하기 위해 외교전을 확대하고 있다. 첫 해외 일정으로 중국(15∼16일)을 공식 방문했다. 뒤이어 우방인 벨라루스(23∼24일)와 우즈베키스탄(26∼28일)을 잇달아 찾으며 운신의 폭을 확대했다.

앞서 푸틴 대통령은 지난해 9월 자국을 방문한 김정은 위원장과의 북ㆍ러 정상회담에서 김 위원장의 평양 방문 초대를 수락하는 등 북한과 밀착을 가속해왔다.

이후 양측의 물밑 접촉이 꾸준히 이어졌다. 북한과 러시아는 1월 최선희 북한 외무상의 러시아 방문 때 푸틴 대통령의 북한 답방을 논의하는 등 고위급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

한편 지난달 푸틴 대통령의 중국 방문 당시 현지 언론은 그가 중국에 이어 북한을 방문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성사되지는 않았다.

이와 관련해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최근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파트너인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관계가 가까워지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며 “중국 방문 후 곧장 북한으로 향했다면 북ㆍ중ㆍ러 삼각 동맹 강화에 대한 서방의 우려를 더 키워 중국이 외교적으로 고립될 가능성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