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전당대회 룰·지도체제 윤곽…흥행 부진 우려

입력 2024-06-09 13:31수정 2024-06-09 17:4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여상규 당헌당규개정 특위위원장(오른쪽 세번째)이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당헌당규개정특위 임명장 수여식 및 1차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차기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룰 개정과 지도체제 변경 여부에 대해 이번 주 가닥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9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당헌·당규 개정 특별위원회는 이번 주 관련 논의를 마무리 지은 뒤 결과를 보고할 예정이다. 특위의 활동 시한은 12일까지다.

먼저 대표 선출 방식에 대해선 현행 ‘당원 100%’ 규정을 바꿀 가능성이 크다. 당원 투표 100%만으로 대표를 선출하는 방식에서 일반국민 여론조사를 일정 비율 반영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다.

다만 특위는 국민 여론조사 반영 비율을 두곤 20%와 30% 사이에서 고심 중이다. 의견이 팽팽하게 갈리는 만큼 추후 당 지도부의 결정이 주목된다.

앞서 국민의힘은 현역 의원들을 상대로 당내 온라인 설문을 실시한 바 있다. 당심과 민심(일반국민 여론조사)을 8:2, 7:3, 5:5로 하는 방안 등을 두고 진행했다. 그 결과 8:2가 1위, 7:3이 2위로 집계됐지만, 한 표 차이에 불과한 것으로 전해졌다.

여상규 특위 위원장은 “민심 반영 비율은 8:2, 7:3 중에 굉장히 팽팽한데 양쪽 다 근거가 있고 일리가 있다는 얘기도 있다”면서 “대세는 8:2냐 7:3이냐로 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도체제 논의의 경우, ‘집단 지도체제’ 혹은 ‘절충형 지도체제’로 변경될 지가 관전 포인트다. 현재는 당 대표와 최고위원단을 분리해 따로 선출하는 ‘단일 지도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만약 집단 지도체제로 변경되면 단일 경선에서 최다 득표자가 대표 최고위원, 차순위 득표자들이 최고위원이 된다.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이 제안한 절충형 2인 체제는 1위를 당 대표, 2위를 수석 최고위원으로 각각 선출하는 방식이다.

특위는 아직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10일 회의를 연 뒤 원점에서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관련해 여 위원장은 7일 “전당대회를 앞두고 급조된 특위에서 지도체제를 논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의견부터 다양한 의견들이 표출됐다”고 설명했다.

전당대회까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고 지도 체제를 섣불리 변경하면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며 현행 체제 유지론을 주장하는 이들도 있다. 주요 당권주자로 거론되는 나경원 의원은 자신의 SNS에 “집단지도체제는 ‘봉숭아학당’의 안 좋은 기억이 있다. 이른바 하이브리드 체제도 올바른 대안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이런 상황에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의 출마 가능성이 커지면서 당내 일각에선 전당대회 흥행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어대한’(어차피 당 대표는 한동훈)으로 분위기가 흘러가면, 중량감 있는 당권주자들이 출마를 꺼릴 수 있단 우려에서다.

당권주자로 주로 거론되는 윤상현·나경원·안철수 의원과 유승민 전 의원 등은 출마 여부를 공식적으로 밝히지 않고 있다.

한 전 위원장은 최근 공개 행보를 계속 이어가고 있다. 그는 7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제2연평해전에서 전사한 고 한상국 상사를 기리는 동화책 제작 후원 링크를 소개했고, 전날(8일)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겨냥해 “자기 범죄로 재판받던 형사 피고인이 대통령이 된 경우, 그 형사재판이 중단되는 것이냐”며 저격하는 글을 올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