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월 부가세 수입 40조 넘어 '역대 최대'…세수 펑크에 효자 등극

입력 2024-06-09 09:44수정 2024-06-09 17:2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법인세 전년대비 12.8조 덜 걷혀, 2년 연속 세수 부족할 듯

올해 4월까지 걷힌 부가가치세가 40조 원을 넘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2년 연속 세수 펑크가 유력한 상황에서 효자 노릇을 하고 있다.

9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올해 1∼4월 부가가치세 수입은 40조3000억 원으로 전년대비 4조4000억 원 늘었다. 같은 기간 기준 역대 최대다.

1∼4월 부가세 수입은 30조 원 초반대를 기록하다 코로나19로 2020년 29조5000억 원으로 줄었다가 다시 2021년 34조4000억 원, 2022년 39조7000억 원으로 늘었다가 작년에는 35조9000억 원으로 다시 감소했다.

부가세는 간접세의 하나로 상품을 생산하면서 증가한 가치에 기반을 둬 징수되는 세금으로 최종 소비자가격의 10%다. 부가세는 1월, 4월, 7월, 10월에 나눠 신고하고 내며 1분기(1∼3월) 매출에 대한 부가세는 4월에 낸다.

부가세가 많이 증가한 것은 국내 소비 증가 영향이 크다. 한국은행의 국내총생산(GDP) 잠정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민간소비는 의류 등 재화와 음식·숙박 등 서비스가 모두 늘어 전 분기보다 0.7% 증가했다. 작년 같은 기간보다는 1.0% 늘어났다.

아울러 정부는 영세 자영업자·소상공인의 부가세 납부 기한을 1월에서 3월로 연장했는데 유예 규모 6000억 원 가운데 절반가량인 3000억 원이 유예 기간 종료에 맞춰 걷혔다.

▲고객이 보틀벙커 서울역점에서 위스키를 구매하고 있다. (사진제공=롯데쇼핑)
고물가에 물가 상승분이 반영된 영향도 있다. 같은 기간 물가상승률(4월 누계)은 3.0%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부가세가 크게 늘면서 2년 연속 세수 펑크가 유력한 상황에서 정부로서는 효자 역할을 톡톡히 할 것으로 보인다.

부가세를 제외하고 전체적인 세입 수준은 법인세가 대폭 감소하면서 녹록지 않은 실정이기 때문이다.

1∼4월 법인세는 역대 최대 규모의 세수 펑크가 났던 작년보다도 12조8000억 원(35.9%)이 줄었다.

정부는 올 한해 367조3000억 원의 세금을 걷을 것으로 예상했으나 4월까지 걷힌 총국세는 125조6000억 원에 그쳤다. 진도율은 34.2%로 최근 5년 평균(38.3%)을 밑돌고 있다. 대규모 세수 결손이 났던 작년(38.9%)보다 낮은 수준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작년만큼 대규모 '펑크'가 나오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5월 세수 상황을 보면 구체적인 결손 규모에 대한 전망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