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경활률 OECD 평균보다 저조…"경력단절 방지책 필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성장세 지속과 워킹맘을 포함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가 여성 취업 호조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엔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인구 대비 취업자와 실업자 비율)과 고용률(생산가능인구 대비 취업자 비율)이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다만 우리나라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에 크게 못 미치는 만큼 여성의 경제활동을 끌어올리기 위한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9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4월 월평균 여성 취업자 수는 1241만4000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23만5000명 늘었다. 이는 1~4월 월평균 전체 취업자 증가폭(28만6000명)의 82.2%에 달하는 수치다.
같은 기간 월평균 남성 취업자 수(1579만5000명)는 전년보다 5만1000명(전체 증가 폭의 17.8%) 정도 늘어는 데 그쳤다.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여성이 고용 증가세를 주도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여성 취업자 수는 전년보다 30만3000명 늘어난 반면 남성은 2만4000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증가 폭 격차가 12.6배다.
지난해 고령화 등으로 돌봄 수요가 늘면서 요양보호사, 간호사 등 여성 비중이 많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성장세가 확대된 것이 여성 취업자의 대폭 증가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올해에도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고용 증가세는 지속되고 있다. 지난달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는 1년 전보다 9만3000명 늘었다. 전체 산업 가운데 수출 회복으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는 제조업(+10만 명) 다음으로 취업자 증가 폭이 두 번째로 높은 것이다.
여성의 경제활동이 많아지고 있는 것도 여성 고용 강세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지난해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55.6%, 고용률은 54.1%로 전년보다 각각 1%포인트(p), 1.2%p 늘었다. 이는 연간 기준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대다.
여성의 혼인 및 출산 연령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에 더해 육아에도 일하는 여성이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작년 11월 통계청이 발표한 기혼여성의 고용 현황 자료를 작년 상반기 15∼54세 기혼여성 중 18세 미만 자녀와 동거하는 여성의 고용률은 60%로 1년 전보다 2.2%p 상승했다. 2016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워킹맘을 포함한 15~54세 기혼여성 취업자는 510만7000명으로 전년보다 3만1000명 늘었다. 이들의 고용률은 64.3%로 1.7%p 늘었다. 이 역시 역대 최고치다.
통계청은 "이러한 수치는 저출산 기조 심화로 아이를 낳지 않은 기혼여성의 일자리 유지 및 사회진출이 확대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은 OECD 회원국 중 저조한 편이다. OECD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한국 여성(35~44세) 경제활동참가율은 63.7%로 OECD 회원국 평균(75.3%)에 크게 못 미친다.
이에 정부는 지난달 초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촉진 등을 위한 '사회이동성 개선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방안에는 배우자 출산휴가를 현행 10근무일에서 한 달 수준인 20근무일로 대폭 확대하고, 경력단절여성 채용 기업에 대한 세제지원을 확대하는 내용이 담겼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유(有)자녀 여성의 경력단절을 방지하는 정책은 노동 공급을 증가시키고, 회복할 수 없는 인적자본 훼손을 방지해 출산율 제고는 물론 경제 성장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