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UAE→아프리카→중앙亞' 릴레이...외치 공들이는 尹

입력 2024-06-08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윤석열 대통령이 5월 2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이 정상회의와 해외 순방 등 외치에 공을 들이고 있다. 5월 말 한일중 및 아랍에미리트(UAE) 대통령과의 정상회의에 이어 이달 초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잇달아 진행했다. 다음 주엔 중앙아시아 3개국을 국빈 방문해 경제 협력 강화에 나선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7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중앙아시아 3개국 국빈 방문 관련 브리핑을 열고 "윤 대통령이 오는 10일부터 투르크메니스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3개국을 국빈 방문한다"고 밝혔다. 10~11일 투르크메니스탄을 방문한 뒤 11~13일 카자흐스탄, 13일에는 우즈베키스탄으로 이동해 순방 일정을 이어간다.

투르크메니스탄에선 공식 환영식, 정상회담, 업무협약(MOU) 서명식, 공동언론발표, 대통령 초청 만찬 등의 일정이 이어진다. 양국 기업이 참석하는 비즈니스포럼 등의 일정과 대통령 부친인 최고지도자 겸 인민이사회 의장 면담을 앞두고 있다.

카자흐스탄에선 11일 고려인 등 동포간담회를 시작으로 대통령 초청 친교 만찬, 국민감사기념비 헌화, 공식 환영식, 정상회담, 국빈 오찬, MOU 서명식, 공동언론발표 등이 이어진다.

13일에는 우즈베키스탄으로 이동한다. 윤 대통령 부부는 동포간담회를 연 뒤 국빈방문 일정을 수행한다. 마지막 날인 15일엔 고대 유라시아 대륙 교류의 중심 도시이자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사마르칸트를 찾는다.

김 차장은 "중앙아시아는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전략적 요충지"라며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 분쟁 등으로 글로벌 복합위기가 확산하며 전략적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순방에는 약 65개 기업이 동행한다 .협회·기관 등을 더하면 결제사절단 규모는 약 86곳에 달한다. 김건희 여사 역시 순방에 동행할 예정이다.

숨가쁜 릴레이 외교...중앙亞 특화 외교 전략 발표

▲윤석열 대통령이 이달 3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 영빈관에서 열린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환영만찬에서 아프리카 정상들과 건배하고 있다. (연합뉴스 )

윤 대통령의 외교 일정은 지난달 말 본격화됐다. 5월 26~27일 한중일 정상회의에 이어 28일 아랍에미리트(UAE) 대통령과 정상회의를 치렀고, 31일부터 이달 5일까지 48개국이 참여한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일정을 지속했다. 특히 한·아프리카 양자회담 국가 수는 25개국에 달했다.

이같은 외교 강행군은 상대국과의 일정을 고려해야 하는 만큼 불가피한 측면도 있으나, 총선 참패 이후 여소야대 상황 등 복잡한 국내 상황에 대한 돌파구로 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 4년 5개월 만에 열린 한·중·일 정상회의는 인적·문화적 교류, 무역과 공급망 등에서 3국 협력 체계를 재확인한 자리였다.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 나하얀 UAE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선 지난해 1월 약속했던 300억 달러 투자 약속을 공고히 했다.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통해선 무역투자촉진프레임워크(TIPF)를 기반으로 경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핵심광물 대화' 발족에도 합의했다. 아프리카 48개국과 인프라, 광물 개발, 농업 등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

주변국 혹은 전략적 핵심 국가와의 스킨십을 확대해 안보와 경제협력 강화의 발판을 다진 셈이다.특히 공급망 불안감은 경제적 위협이 될 수 있는 만큼 공급망 협의 강화는 릴레이 외교의 핵심 키워드로 작용헀다.

특히 윤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20% 초반대(한국갤럽 28∼30일 1001명 조사.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 자세한 여론조사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로 밀린 상황에서 경제적 외치 성과의 필요성은 더 커졌을 것으로 보인다.

김 차장은 다음 주 중앙아시아 순방과 관련해 "윤석열 정부의 중앙아시아 협력구상은 앞으로 대한민국과 중앙아 관계를 새로운 단계로 끌어올리는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앙아시아 특화 외교 전략인 K-실크로드 협력 구상도 발표했다. K-실크로드는 중앙아시아 특화 외교전략이다. R(Resource·자원)·O(ODA·공적개발원조)·A(Accompany·동반자 협력)·D(Drive·유기적 협력 네트워크)이 추진 체계다.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전략적 에너지·자원 파트너십을 구축해 에너지 자원 개발, 인프라 건설, 핵심광물 공급망 등 분야에서 구체적인 협력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김 차장은 "한-중아시아 K-실크로드 구상에 대한 중앙아시아의 확고한 지지를 확인하는 구체적인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