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교 통상본부장 "IPEF, 기업·투자자에게 실질적 이익 확인"

입력 2024-06-06 16:3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IPEF 장관회의 및 청정경제 투자자포럼 참석
"인도·태평양 지역 프로젝트 수주 및 현지 시장 진출 지원"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사진제공=산업통상자원부)

정부가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가 기업과 투자자 등에게 실질적인 이익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인도·태평양 지역의 주요 프로젝트 수주와 현지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낼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6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은 5~6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IPEF 장관회의 및 청정경제 투자자 포럼에 참석했다.

IPEF는 팬데믹 이후 글로벌 통상환경이 '효율성'에서 '회복력'으로 중심축이 바뀌며 공급망 회복력 강화를 위한 협력의 중요성이 커지자 공급망과 기후변화·디지털 등을 중심으로 인도·태평양 지역 내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출범한 새로운 경제통상협력체다.

한국, 미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인도, 피지 등 14개국이 참여하고 있으며 전 세계 인구의 32%, 국내총생산(GDP)의 40%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번 행사는 지난해 타결된 공급망·청정경제·공정경제 협정의 본격적인 이행 및 구체적인 프로젝트 발굴 촉진을 위해 마련됐다.

먼저 'IPEF 장관회의'에는 정 본부장과 지나 러몬도 미 상무장관, 사이토 겐 일본 경산성 대신 등 14개국 장관이 참석해 지난해 11월 타결된 청정경제 협정, 공정경제 협정에 서명했다. 또한, 제1차 공급망위원회를 조속히 개최하는 등 기발효된 공급망 협정에 따른 협력도 이어가기로 했다.

정 본부장은 별도 양자 면담을 진행해 러몬도 장관과는 청정전기와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청정경제 협력프로그램을, 간킴용 싱가포르 통상산업부 장관 등과는 한-싱 공급망 협력 강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또한, 아이르랑가 하르타르토 인도네시아 경제조정부 장관과는 ‘파리협정 제6조 이행에 관한 양해각서(MOU)’에 서명하며, 기업들의 해외 탄소 감축사업 및 공급망 협력사업 추진을 지원하기로 합의했다.

'청정경제 투자자포럼'에는 인도·태평양 지역 정부, 투자사 및 기업 관계자 등이 300명 이상 참여했다.

한국의 국민연금, 우정사업본부, 하나금융투자, 미국의 KKR, 블랙록, 호주의 맥쿼리 등 IPEF 14개국을 대표하는 103개 투자사가 참석했으며, 태양광, 바이오매스, 수소 등 총 72개, 230억 달러(약 3조 원) 규모의 청정인프라 프로젝트에 대한 설명회도 열렸다.

또한, ‘인도-태평양 100대 기후테크 스타트업’에 '피엠그로우', '60Hertz' 등 우리 스타트업 10개 사가 포함돼 현장에서 투자유치 활동을 전개했다.

정 본부장은 "이번 포럼을 통해 IPEF가 실제 작동하고 있으며, 역내 기업·투자자 등에게 실질적인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음을 확인했다"라며 "이를 계기로 우리 기업들이 인도·태평양 지역 내 주요 프로젝트 수주와 현지 시장 진출을 가속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