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국민계정 기준년 개편…1인당 소득 3만달러 돌파시기 3년 앞당겨

입력 2024-06-05 08:2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먹거리 물가가 소득보다 크게 오르면서 가계 부담이 지속되고 있다. 2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체 가구의 가처분소득은 월평균 404만6000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4% 늘어나는데 그쳤다. 이에 비해 1분기 외식 물가는 3.8% 올라 가처분 소득 증가율의 2.8배를 기록했다. 가공식품도 1.6배인 2.2%가 올랐다. 이런 현상은 2022년 3분기부터 7개 분기째 이어지고 있다. 품목별로 보면 외식은 햄버거가 6.4%로 가장 많이 올랐고, 가공식품중엔 설탕과 소금이 20% 대로 크게 상승했다. 이날 서울의 한 구내식당 앞이 저렴하게 끼니를 해결하려는 시민들로 붐비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이투데이DB)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미달러화 기준)이 3만 달러를 돌파한 시점이 3년 앞당겨졌다.

한국은행은 13차 국민계정 기준년 개편을 통해 기준년을 2015년에서 2020년으로 변경했다고 5일 밝혔다. 한은은 기초자료의 작성 주기에 따라 5년마다 기준년 개편을 실시하고 있다.

개편결과 2020년 1인당 GNI(신계열, 미 달러화 기준)은 3만3929달러로 구계열(3만2004달러)에 비해 1925달러 증가했다. 1인당 GNI의 3만 달러 상회 시기가 기존 2017년에서 2014년으로 3년 앞당겨진 것이다.

2020년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은 1만9322달러로 구계열(1만7953달러)에 비해 1369달러 증가했다.

2020년 명목GDP(신계열) 규모는 2058조 원으로 구계열(1941조 원)에 비해 118조 원 확대됐다. 2001~2023년중 실질GDP의 연평균 성장률(신계열)은 3.6%로 구계열 성장률 3.5%에 비해 0.1%p 상향 수정됐다. 실질GDP 성장률 신계열의 전반적인 추세는 구계열과 거의 유사하나 2016~2020년 성장률은 구계열에 비해 0.2%p 상향 조정됐다.

생산구조를 보면 2020년 서비스업(구계열 62.4%→신계열 62.0%)과 건설업(6.0% → 5.8%)의 총부가가치 대비 비중은 하락한 반면 제조업(27.1% → 28.0%)의 비중은 상승했다.

지출구조는 민간소비(구계열 46.4% → 신계열 47.8%)와 설비투자(9.0%→ 9.4%)의 GDP 대비 비중이 경제총조사 등 기초자료 변경으로 상승한 반면 지식재산생산물투자(6.9% → 6.4%) 등 여타 부문의 비중은 하락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