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경제성장률 1.3%, 속보치 동일…민간소비 감소·수출 증가 조정

입력 2024-06-05 08: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은, 5일 ‘1분기 국민소득(잠정)’ 발표
민간소비 0.1%·설비투자 1.2% 하향 조정…건설투자·수출 상향 수정
한은 "국민계정 기준년 개편으로 과거 시계열 모두 조정"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가 1년 전보다 2.7% 상승해 두달 연속 2%대를 기록했다. 4일 통계청 ‘2024년 5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5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전 같은달보다 2.7% 올랐다. 밥상물가와 직결되는 신선식품지수가 17.3% 올라 물가 상승을 이끌었다. 농축수산물은 8.7% 올랐으며, 품목별로는 사과 80.4%, 배 126.3%, 토마토 37.8% 등으로 과실류의 상승세가 계속됐다. 공업제품은 2.1%, 서비스는 2.3% 올랐으며, 생활물가지수는 3.1% 상승했다. 이날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이투데이DB)
1분기 경제성장률(GDP 증가율)이 1.3%를 기록했다. 앞서 발표된 1분기 속보치와 같다. 국민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전기 대비 3.4% 증가했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1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기대비 1.3% 증가했다.

한은은 민간소비(-0.1%p), 설비투자(-1.2%p) 등은 낮아진 반면, 건설투자(+0.7%p), 수출(+0.9%p) 등은 상향 수정됐다고 설명했다. 한은 측은 "국민계정 기준년 개편으로 과거 시계열이 모두 조정되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했다.

경제활동별로는 제조업은 운송장비 등이 늘어 0.9% 증가했다. 건설업은 건물건설, 토목건설이 늘어 5.5% 증가했고, 서비스업은 운수업이 감소했으나,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과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 등이 늘어 전기대비 0.9% 증가했다.

지출별로 보면 민간소비는 재화(의류 등)와 서비스(음식숙박 등)가 모두 늘어 전기대비 0.7% 증가했다. 정부소비는 물건비 지출 등이 늘어 0.8% 늘었다. 건설투자는 건물건설과 토목건설이 모두 늘어 3.3% 증가했다.

반면 설비투자는 운송장비를 중심으로 2.0% 감소했다. 수출은 IT품목(반도체, 이동전화기 등), 석유제품 등을 중심으로 1.8% 증가했다. 수입은 천연가스, 전기장비 등이 줄어 0.4% 감소했다.

1분기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전기대비 3.4% 증가했다. 명목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작년 4분기 4조8000억 원에서 7조7000억 원으로 늘어 늘어 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3.0%)을 웃돌았다.

(한국은행)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전기대비 2.4% 증가했다. 교역조건 개선으로 실질무역손실(-17조 원 → -11조3000억 원)이 축소되면서 실질 국내총생산 성장률(1.3%)을 상회했다.

GDP 디플레이터는 전년동기대비 3.9% 상승했다. 내수(재고제외 기준) 디플레이터는 전년동기대비 2.4% 상승했다.

총저축률은 35.1%로 전기대비 1.5%포인트(p) 상승했다. 국민총처분가능소득 증가율(3.5%)이 최종소비지출 증가율(1.1%)을 상회한 데 기인한다.

국내총투자율은 29.7%로 전기대비 0.8%p 하락했다. 국민총처분가능소득 증가율(3.5%)이 총자본형성 증가율(0.7%)을 상회한 데 영향을 받았다. 국외투자율은 5.6%로 전기대비 2.5%p 상승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