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수처, ‘채상병 사건’ 혐의자 축소 경위 파악에 수사력 집중

입력 2024-06-04 13:3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방부 조사본부 관계자들 방문조사 이어 참고인 신분 소환
임성근 사단장 제외 ‘채상병 사건’ 혐의자 8명→2명 과정 추궁
윗선 지목된 국방부‧대통령실 관계자들 “아직 소환 조율 안해”

▲정부과천청사 공수처 (공수처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국방부 조사본부 관계자들을 연이어 소환 조사하고 있다. 애초 8명이었던 채 상병 사건 관련 혐의자가 국방부 조사본부 재검토 과정에서 최종 2명으로 줄어든 경위를 살펴보는 것이다.

공수처 관계자는 4일 오전 정부과천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올해 1월 말 압수수색을 나간 이후 3월쯤 국방부 조사본부에 가서 출장 면담 형식으로 기초 조사를 했다”고 밝혔다.

이어 “해병대수사단이 초기에 혐의자 8명에 대해서 이첩한다고 얘기했다가 추후 혐의자가 6명으로 줄었고, 최종 2명으로 줄었다. 이미 언론에도 수차례 보도된 부분”이라며 “구체적으로 무슨 이야기를 나눴는지는 확인해 주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당초 해병대수사단의 보고서에는 ‘채 상병 사건’ 관련 주요 혐의자로 임성근 해병대 1사단장 등 8명이 지목됐다. 곧바로 경찰로부터 보고서를 회수한 국방부 조사본부는 이를 재검토한 뒤 주요 혐의자를 대대장급 2명으로 축소해 경찰에 재이첩했다.

공수처 수사4부(부장검사 이대환)는 전날 국방부 조사본부 전 수사단장 김모 씨를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주요 혐의자 축소 과정에 개입한 것으로 알려진 김 씨는 지난달 25일에도 한 차례 참고인으로 소환조사를 받은 바 있다.

공수처 관계자는 “그쪽(국방부 조사본부)에 대한 조사는 계속 있을 것 같다”며 “언론에서 주목할 만큼 지위가 높은 분들은 아니고, 실무에 관여했다는 정도로 보면 될 듯하다”고 말했다. 공수처가 국방부 조사본부의 이첩·회수과정을 집중적으로 확인하고 있는 셈이다.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이 21일 오전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 사건 수사외압 의혹 관련 조사를 받기 위해 공수처로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다만 윗선으로 꼽히는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 등 관계자들의 소환 계획에 대해선 선을 그었다.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과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에 대해서도 “아직 일정 조율하고 있지 않다”고 했다.

오동운 공수처장이 전날 “국민적 관심 있는 사건에 대한 통화기록을 확보하는 데 빈틈이 없게 하겠다”고 발언한 데 따른 확대 해석도 경계했다. 최근 윤석열 대통령과 이 전 장관의 통화기록 등이 공개되면서 채 상병 사건 관련 ‘대통령실 개입 논란’이 커지는 상황이다.

이 관계자는 “정치권과 언론에서 통화기록 확보가 중요하다고 계속 말하니까 그 부분에 대해 빈틈없이 하겠다는 원론적인 차원으로 말한 것”이라며 “특정 대상이 있는 게 아니고 포괄적으로 수사기관으로써 법적 절차에 따라서 자료를 확보한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