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부총재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경로대로 완만한 둔화 추세 예상”

입력 2024-06-04 10:0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4일, 한국은행 ‘물가 상황 점검회의’ 개최

▲한국은행 신축 통합별관 외부 (사진공동취재단)
한국은행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완만한 둔화 추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김웅 한은 부총재보는 4일 ‘물가 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5월 물가상승률에 대해 “소비자물가 및 근원물가 상승률이 모두 전월보다 낮아지면서 둔화 흐름을 이어갔다”고 진단했다.

5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2.7%(0.2%p↓)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근원물가(식료품+에너지 제외)는 2.2%(0.1%p↓), 생활물가는 3.1%(0.4%p↓)로 각각 나타났다.

김 부총재보는 “석유류·가공식품가격의 오름폭이 확대됐으나, 근원상품과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률이 둔화된 데다 지난해 전기·도시가스요금 인상에 따른 기저효과도 작용했다”며 “생활물가 상승률은 농축수산물가격 둔화 등으로 3%대 초반으로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이 지속되면서 경제 전반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지난해 12월 이후 5개월 만에 '비관적'으로 돌아섰다. 2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5월 소비자 동향조사' 에 따르면 이달 소비자심리지수는 98.45로 지난달보다 2.3포인트 하락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100을 웃돌았지만 이달 들어 100 밑으로 떨어졌다. 지수가 100보다 낮으면 장기 평균과 비교해 소비 심리가 비관적이라는 뜻이다. 소비자들은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주요 품목으로 농축수산물(62.0%), 공공요금(48.2%), 석유류제품(36.3%) 등을 꼽았다. 앞으로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을 담은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지난달보다 0.1% 포인트 오른 3.2%를 기록했다. 이날 서울의 한 전통시장이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이투데이DB)
향후 물가 흐름에 대해서는 완만한 둔화 흐름을 예상하면서 지정학적 리스크가 상존한 점은 주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 부총재보는 “최근 국제유가와 농산물가격 둔화를 감안할 때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월 전망경로대로 완만한 둔화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한다”며 “다만 지정학적 리스크가 상존한 가운데 국내외 경기흐름, 기상 여건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큰 만큼 물가가 예상대로 목표에 수렴해 가는지를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