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C+ 감산 연장에 유가 널뛸까…정유·석유화학 ‘예의주시’

입력 2024-06-03 15:2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OPEC+, 감산 연장 결정…국제유가 불확실성 확대
정제마진 악화로 정유사 실적 경고등
석화업계 불안 “제품 가격에 유가 상승분 반영 어려워”

▲GS칼텍스 원유정제시설 (사진출처=GS칼텍스)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OPEC 주요 산유국으로 구성된 OPEC플러스(+)가 감산 연장을 결정하면서 국제유가 변동에 민감한 정유·석유화학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OPEC+는 올해 말까지였던 하루 366만 배럴 규모의 감산을 2025년 말까지 연장한다. 일부 회원국이 지난해 11월 합의한 하루 220만 배럴 추가 감산은 3분기까지 연장하고, 4분기부터는 점진적으로 감산분을 축소하기로 했다.

감산 조치가 연장되면서 국제유가의 상방 압력은 더욱 높아졌다. 한국석유공사 페트로넷에 따르면 국내 정유사들이 주로 수입하는 두바이유 가격은 지난달 31일 기준 배럴당 83.44달러를 기록했다. 중동 지역 위기가 고조됐던 4월 초 90달러까지 치솟았으나 이후 하향 안정화했다.

일반적으로 국제유가가 오르면 정제마진이 개선된다. 정제마진은 석유제품 가격에서 원유 가격을 뺀 금액으로, 정유사의 수익성을 가늠하는 지표다. 그러나 지금처럼 공급량을 인위적으로 줄이고, 석유제품 수요가 감소하면 정제마진이 약세를 보인다. 지난달 말 싱가포르 복합 정제마진은 배럴당 1.86달러로, 1분기(7.3달러) 대비 급락했다. 손익분기점인 4~5달러에도 미치지 못한다.

정유사 실적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올해 1분기 정유 4사(SK이노베이션·에쓰오일·GS칼텍스·HD현대오일뱅크) 합산 영업이익은 1조7670억 원이다. 지난해 4분기에는 총 1조 원이 넘는 적자를 냈다. 해당 분기 정제마진은 평균 4달러대에 그쳤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정제마진이 약세일 때 국제유가가 오르게 되면 가격 상승에 따른 수요 위축이 발생할 수 있다”며 “미국 등 OPEC+을 제외한 국가에서 원유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고, 세계 경제도 국제유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기 때문에 현재는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하반기 실적 반등을 기대하는 석유화학 업계도 고유가가 달갑지 않다. 유가가 오르면 석유화학 기초 원료인 나프타 가격이 오르기 때문이다. 수요 부진에 허덕이는 상황에선 유가 상승분을 제품 가격에 반영하기도 어렵다. 에틸렌 가격에서 나프타 가격을 뺀 에틸렌 스프레드는 톤(t)당 142달러 수준이다. 손익분기점 300달러를 크게 밑돈다.

중국발 악재도 실적 회복을 어렵게 만든다. 중국의 대규모 증설로 공급 과잉이 심화하는 가운데 수요마저 둔화했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가 내수 소비 진작을 위해 노후화된 자동차·가전제품을 교체할 때 혜택을 제공하는 ‘이구환신’ 정책을 도입했지만 반응은 미적지근하다.

석화업계 관계자는 “과거처럼 중국의 공급이 부족했으면 실적 회복세가 뚜렷했겠지만, 중국의 자급률이 높아짐에 따라 중국 수요가 살아나도 국내 석유화학 업체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