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서방국 견제 대응전략 변화…이별 준비 진행됐기 때문”[차이나 마켓뷰]

입력 2024-05-31 08:2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출처=한화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은 미국 등 서방국의 대중국 압박 수위가 높아지고 있음에도 중국이 지난 무역분쟁과는 다른 대응을 보이는 것을 두고 중국이 서방국과의 디커플링을 진행 중이므로 소모전에 힘을 쓰지 않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정영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주요 서방국들은 중국의 과잉생산을 이유로 견제를 강화 중이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전 트럼프 정부 기조를 이어가며 주저 없이 대중국 추가관세 부과를 결정했으나 보름가량 지난 상황에서 중국은 예상보다 조용한 반응을 보인다”며 “라이칭더 대만 총통 취임식에 맞춰 미국 방산업체와 관계자 제재가 단행됐으나 2018~2019년 양국이 보복성으로 상호 추가관세를 부과했던 것과는 다른 양상”이라고 짚었다.

그는 “일각에서는 중국에서 실질적인 대응 전략이 부재한 상황이라는 평가가 나오지만, 그보다는 오랜 시간 준비해온 서방국과의 이별 준비가 상당 수준 진행됐기 때문으로 해석된다”며 “2018~2019년 무역분쟁과 코로나19 기간을 지나면서 중국의 G7향 수출 비중은 27%대로 하락했고, 브릭스(BRICs)와 아세안(ASEAN)향 수출 비중이 29%까지 늘어났다. 수출 비중은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역전됐고, 수입은 2020년부터 변화가 확인된다”고 설명했다.

정 연구원은 “서방국에 대한 수출입 의존도가 낮아진 가운데, 2018~2019년과 같은 소모전은 경제 회복이 필요한 지금의 중국에 불필요한 대응 전략”이라며 “오히려 중국이 진행 중인 디커플링이 확실해지기 전까지 서방국과의 대화·교류에 적극적으로 임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이어 “이 과정에서 신흥국에 대한 경제적 영향력은 구조적으로 올라갈 전망”이라며 “4월 정치국회의를 통해 중국 최고 지도부는 중간재 수출과 민간기업의 해외 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