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해진 5월 외국인 매수세, 원화 강세 이후 강해진다…환차익 기대감 반영’

입력 2024-05-31 08:2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글로벌 금리 불안이 커지면서 코스피가 1.5% 넘게 하락 마감했다. 30일 서울 여의도 KB국민은행 스마트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지수가 전 거래일 대비 41.86포인트(1.56%) 내린 2635.44를 나타내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미 국채 금리 급등으로 전일 대비 14.4원(1.05%) 오른 달러당 1379.4원에 거래를 마쳤다. 신태현 기자 holjjak@

1분기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외국인투자자의 국내 주식 순매수세가 둔화한 가운데 추가적인 외국인 매수세가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31일 한국투자증권은 "외국인은 2022년 7월 이후 국내 주식을 순매수하고 있는데, 달러화로 환산한 코스피는 현재 코스피에 비해 좀 더 낮은 수준이다. 외국인 입장의 코스피는 내국인 기준에 비해 덜 상승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외국인투자자는 1분기 연준의 완화적 통화정책 기대감, 원화 강세 가능성, IT가 이끄는 실적 상향 조정에 밸류업프로그램 같은 정책 기대감까지 더해지면서 역대급 순매수세를 펼쳤다. 하지만 2월에 사상 2번째 규모의 외국인 순매수 규모를 기록한 이후, 5월 들어 순매수 강도는 둔화되고 있는 상태다.

염동찬·신채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4월 이후 외국인 순매수가 둔화된 첫 번째 이유로 영국계 자금의 국내 주식 순매수 둔화 영향을 꼽았다. 영국계는 2023년 11월 이후 한 달에 2조 원 이상씩을 연속 순매수했지만, 4월에는 360억 원 수준으로 순매수 규모가 감소했다.

다만 "아직 이를 영국계 자금 매수 사이클의 종료로 보기는 이르다"며 "영국을 포함한 유럽계 자금의 국내 주식 비중은 2011년 이후 감소한 상태이고, 영국계 자금 순매수 둔화의 빈자리를 미국계가 채우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5월 말 들어 외국인 순매수가 둔화된 또 다른 원인은 원화 강세가 둔화된 영향이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전망이 늦춰지는 가운데,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고 원화는 약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추후 원화 강세는 외국인 추가 매수를 유발하는 요인이다.

염동찬·신채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다만 외국인은 과거 원·달러 환율 1300원 이상의 수준에서는 환차익을 기대하고 국내 주식을 순매수하는 경향이 있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시기의 차이는 있겠지만 결국 금리는 인하되고 원·달러 환율도 레벨이 내려올 것이며, 환차익을 기대한 외국인 순매수 역시 더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