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기업, 중국판 ‘밸류업프로그램’에 ‘자사주 매입’ 속도...주주환원 정책 강화

입력 2024-05-30 17:0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작년 실적 부진에도 총 418조원 배당
상장사 100곳, 처음으로 배당금 지급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관계자가 위안화를 정리하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중국 상장 기업들이 자사주 매입과 배당금 인상을 서두르고 있다. 최근 중국 정부가 ‘중국판 밸류업 프로그램’으로 불리는 ‘신(新)국 9조’를 발표한 데에 따른 것이다. 투자자들은 이번 조치로 기업 가치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30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공식 데이터를 인용해 중국 상장사들이 실적 부진에도 지난해 총 2조2000억 위안(약 418조 원)에 달하는 기록적인 현금 배당을 발표했다고 전했다. 100개 이상의 상장사가 처음으로 투자자들에게 돈을 돌려주게 됐다.

일부 중국 기업은 상장 폐지나 기타 제재를 피하고자 자사주 매입을 발표했다. 투자 수익률을 개선하기 위해 발표된 이번 조치는 중국증시의 반등을 일으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중국 대표 벤치마크 지수 CSI300지수는 2월 5년 만에 최저치를 찍고나서 17%가량 상승했다.

신국 9조는 모든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배당 및 자사주 매입·소각을 강화하는 것이 골자다. 배당에 소홀하면 관리종목으로 지정된다. 우리나라 밸류업 프로그램과 달리 주주환원 정책에 강제성이 존재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기업 지배구조 개선보다는 시장 구제에 더 가깝다는 회의론도 있다. 중국과 홍콩 시가총액의 30%를 차지하는 국영기업은 중국 공산당 통제하에 있다. 비정부 주주와의 이해 상충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게 로이터의 설명이다. 중국 최고 증권 규제 기관인 증권감독관리위원회의 감독 아래 상장 기업들이 수익 개선 압박을 받는 것도 문제로 꼽힌다.

중국 자산운용사 퉁헝인베스트먼트의 양팅우 부사장은 “중국 기업들의 지배구조는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 미국 투자관리사 인더스캐피탈파트너스의 존 핑켈 파트너도 “이는 한국과 일본의 밸류업 프로그램을 모방한 것일 뿐”이라고 꼬집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