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살리기'까지 나선 은행권…'투자 펀드' 조성한다

입력 2024-05-31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8일 지역활성화 투자 펀드 조성간담회 열어
당국 "지속가능한 지역 발전 위해 힘써 달라"

주요 은행들이 정부의 지역경제 활성화 프로젝트에 힘을 싣는다. 일회성 금융지원이 아닌 지속가능한 지역 발전을 위한 투자에 나서는 것으로 관광단지 개발, 스마트팜 단지 조성, 인프라 개발 등 비금융 분야로의 투자 확대를 모색할 것으로 전망된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28일 금융당국은 서울 여의도 KDB산업은행 본사 별관에서 ‘지역활성화 투자 펀드 조성간담회’를 가졌다. 지역활성화 투자 펀드는 지역이 원하는 지속가능한 대규모 융·복합 프로젝트를 민간의 창의적 역량과 풍부한 자본을 활용해 추진하는 새로운 지역투자 방식이다.

이날 간담회에는 이형주 금융위원회 상임위원을 비롯해, 산업·IBK기업은행 등 국책은행과 주요 시중은행 관계자들이 모였다. 이 상임위원은 “이날 간담회는 지역 활성화 펀드와 관련해 기관 투자자들과 금융회사들에 설명하는 자리였다”면서 “지차체가 사업성 있는 프로젝트를 개발하면 금융회사가 그간 투자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은행들은 지역 활성화 투자펀드 참여를 긍정적으로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 활성화 투자펀드는 정부재정, 지방소멸대응기금, 산업은행 등이 총 3000억 원 규모로 조성하는 모펀드와 은행·지자체가 함께 결성하는 자펀드로 이뤄지게 된다. 이때 모펀드는 자펀드의 후순위 출자자로서 손실 발생 시 민간 투자자 출자액의 최대 20%까지 부담할 예정이다. 은행 등 민간출자자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장치다.

은행권의 출자규모는 투자 프로젝트에 따라 달라진다. 프로젝트 선정과 관련해 자펀드를 구성하는 지자체와 민간이 주도적으로 판단해 결정하기 때문이다. 현재 각 지차체들은 광역 스마트 농산물 유통물류 복합센터(경북 김천), 액화천연가스(LNG) 터미널(전남 여수), 친환경 에너지산업 시설(강원도) 건립 등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은행들이 참여할 경우 자금 투입 뿐 아니라 프로젝트 설계는 물론, 수익성 검증과 보강 등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은행들 입장에서도 비금융 분야로의 투자 확대를 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면서도 정부 재정 사업이라는 부분에서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긍정적으로 검토할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중요한 것은 사업성인 만큼 프로젝트를 면밀히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