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임금 1개월 만에 마이너스 전환…고용은 회복 조짐

입력 2024-05-30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고용부, '4월 사업체노동력조사(3월 근로실태조사)' 결과 발표

(자료=고용노동부)

실질임금이 1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됐다. 그나마 고용은 회복 조짐을 보인다.

고용노동부는 30일 발표한 ‘4월 사업체노동력조사(3월 근로실태조사)’ 결과에서 올해 3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이 401만 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2.9% 증가했다고 밝혔다. 임금 증가율이 같은 달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3.1%)에 못 미치면서 물가 수준을 반영한 실질임금은 1개월 만에 감소로 전환됐다.

종사상 지위별로 사용근로자 임금총액은 425만5000원으로 3.0% 증가했다. 초과급여가 23만6000원으로 8.6% 늘었지만, 정액급여가 353만4000원으로 3.2% 느는 데 그쳤다. 특별급여는 48만5000원으로 0.6% 감소했다. 임시·일용직은 184만8000원으로 4.5% 증가했다. 임시·일용직 중 상대적으로 임금수준이 높은 건설업 근로자가 늘어난 결과다.

산업별로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운수·창고업은 임금총액 증가율이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반면, 금융·보험업,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협회·단체 및 수리·기타 개인서비스업은 임금이 줄었다. 규모별로 상용 300인 미만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은 358만2000원으로 3.1%, 300인 이상 사업체는 611만1000원으로 2.5% 각각 증가했다.

1분기(1~3월) 누계 실질임금은 1.7% 감소를 기록했다. 1분기 기준으로 2년 연속 마이너스다.

그나마 고용은 회복 조짐을 보인다. 4월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는 1010만6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9만8000명 늘었다. 전월(18만4000명)보다 증가 폭이 1만4000명 확대됐다. 종사자 중 상용직 증가 폭은 전월 6만8000명에서 8만9000명으로 확대됐다.

산업별로 제조업, 건설업, 금융·보험업,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은 종사자 증가 폭이 전월보다 확대됐다. 반면, 도·소매업은 증가 폭이 축소되고, 숙박·음식점업은 감소 폭이 확대됐다. 전월까지 증가세 지속하던 협회·단체 및 수리·기타 개인서비스업은 감소로 전환됐다.

입직자 감소 폭은 전월 7만7000명에서 1만8000명으로 축소됐다. 특히 채용 감소 폭이 5만9000명에서 5000명으로 대폭 줄었다. 이직자는 자발적 이직을 중심으로 감소 폭이 축소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