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카드빚 못 갚는 서민 10년래 최고…빚 돌려막기도 막혔다

입력 2024-05-29 14:3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게티이미지뱅크)

고금리가 장기화하면서 현금 서비스와 카드론 등 은행 신용카드 대출의 연체율이 급등하고 있다. 젊은 층과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신용카드 대출을 제때 갚지 못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상대적으로 높은 이자의 현금서비스와 카드론을 이용하는 서민들이 크게 늘었지만 금리를 감당하지 못해 한계상황에 직면한 것으로 읽힌다.

29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일반은행의 신용카드 대출금 연체율은 2월 말 기준 3.4%로 2014년 11월(3.4%) 이후 10년 만에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2.5%) 대비 1년 만에 1%포인트(p) 가까이 상승했다.

하루 이상 원금 연체를 기준으로 한 일반은행의 카드 연체율은 지난해 상반기 2% 초반대로 올라 하반기 2% 후반대로 점차 상승세를 나타냈고, 올해 들어서는 3% 선을 넘어섰다.

은행의 신용카드 대출은 현금서비스나 카드론 등의 소액 고금리 대출을 의미한다. 신용카드 대출의 경우 비교적 소액으로 빌릴 수 있어 주로 젊은 세대나, 급전이 필요한 취약차주가 많이 이용한다. 은행대출보다 소액인 카드 대출 연체율이 높아졌다는 건 취약차주들이 다른 대출 상환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뜻이다.

2월 말 기준 일반은행 가계대출 연체율은 0.42%, 기업대출 연체율은 0.59%로 4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았으나 카드 대출 연체율보다는 낮았다.

금융권 관계자는 “고금리 상황이 당분간 이어질 전망인 만큼 취약 차주들의 연체가 올해 하반기까지 더 증가할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

(유하영 기자 haha@)

은행 카드 대출뿐만 아니라 신용카드 연체 규모와 연체율도 심각한 상황이다.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8개 카드사(신한·삼성·현대·KB국민·롯데·하나·우리·BC카드)의 1개월 이상 신용카드 연체총액은 2조92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했다. 카드대란이 있었던 2003년(4조4227억 원), 2004년(2조5413억 원) 이후 세 번째로 많은 규모다.

연체율도 크게 올랐다. 올해 1분기 기준 8개 카드사 중 4개사가 연체율 2%를 넘겼다. 하나카드가 2.3%로 가장 높은 연체율을 기록했고 △우리카드 2.28% △KB국민카드 2.14% △BC카드 2.08%가 뒤를 이었다. 롯데카드와 신한카드가 각각 1.94%, 1.82%로 2%에 근접한 수치를 나타냈다.

연체율 상승으로 금융사의 건전성이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지난 20일 글로벌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보고서를 통해 “고금리 환경이 지속되면 올해 추가적인 건전성 악화의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소액대출은 금액이 작은 만큼 이마저도 갚지 못하면 다른 대출을 갚지 못할 정도로 차주의 상환능력이 심하게 악화한 것”이라며 “가계 부담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카드 연체 규모가 늘어난 것은 서민 경제가 어렵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