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정상회담, 尹 “한일관계 도약 시키자”...기시다 “공조 긴밀화”

입력 2024-05-26 17:5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1년 만 방한 기시다...한‧일 정상회담, 6개월 만
尹 “한일 관계 개선 성과 쌓이고 있어 기뻐”
기시다 “정상 간 신뢰 바탕 셔틀외교 지속하자”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26일 한일 정상회담을 열고 내년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을 앞두고 양국 관계를 한층 도약시키자고 뜻을 모았다. 정상 간 신뢰를 바탕으로 셔틀외교를 강화하자는 데도 의견을 함께 했다. 윤 대통령은 한중일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중, 한일 양국 간 관계 진전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4시 30분 서울 용산 대통령실 확대회의실에서 기시다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을 열었다. 기시다 총리는 4년 5개월 만에 재개되는 한중일 정상회의 참석 차 방한했다. 한일 정상회담은 지난해 11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 회담 이후 6개월 만이다.

윤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우리 두 사람의 견고한 신뢰를 기반으로 지난 한 해 동안 각계 각급에서 교류가 크게 증진됐다”며 “작년 3월 도쿄, 작년 7월 리투아니아 빌뉴스에서 합의한 대로 정부 간 합의체가 모두 복원됐고, 올해도 재무, 산업, 첨단기술 분야에서 고위급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 “올해 1분기에 이미 300만 명이 양국을 오갔다”며 “올해 인적교류가 역대 최고 수준인 2018년 1,051만 명을 넘어설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이어 “한일관계 개선의 성과가 착실히 쌓이고 있는 것을 대단히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인 내년에는 한일관계를 한층 도약시키는 역사적인 전기가 마련될 수 있도록 총리님과 제가 합심해서 준비해 나갔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1년 만에 방한한 기시다 총리에게 “1년 만의 방한을 진심으로 환영한다”며 “작년 3월, 12년 만에 셔틀외교가 재개된 이후 1년 남짓한 기간 동안 총리님과 제가 각각 두 번씩 양국을 오가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도 했다.

기시다 총리도 “작년 3월에 처음 대통령님과 회담을 가지고, 이번이 10번째 대면회담”이라며 “이외에도 대화, 통화 등 계속 긴밀히 대통령님과 소통하고 있는 것을 대단히 기쁘게 생각한다. 그러한 정상 간 신뢰를 바탕으로 앞으로도 셔틀외교를 지속해 나가자”고 화답했다.

이어 “내년에는 일한 국교정상화 60주년”이라며 “양국관계를 더 도약시키기 위해 윤 대통령님과 제가 각각 정부에 지시를 내려 준비를 추진할 수 있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기시다 총리는 “국제사회가 역사의 전환점에 있는 가운데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을 유지 강화하며 글로벌 과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도 일한 양국 공조를 한층 더 긴밀화할 수 있었으면 한다”고도 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한일 정상회담에 앞서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와도 양자회담을 갖고 “서로 존중하며 공동이익을 추구해나가자”고 밝혔다. 리 총리도 “믿음직한 좋은 이웃, 성공을 지원하는 파트너가 되자”고 화답했다.

이날 연쇄 회담 이후에는 3국 대표단이 참석하는 공식 환영 만찬이 열린다. 27일 오전에는 제9차 한중일 정상회의가 개최된다. 3국 정상은 비즈니스 서밋에도 참석해 각각 연설하고, 참석한 경제인들을 격려할 예정이다. 이번 한중일 정상회의는 2019년 12월 중국 청두에서 열린 제8차 회의 이후 열리는 첫 회의로, 3국 협력의지를 담은 공동선언을 공개할 예정이다.

한편 이날 한일 정상회담에는 한국 측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조태열 외교부 장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장호진 국가안보실장, 윤덕민 주일본 대사,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 이도운 홍보수석, 박춘섭 경제수석, 이충면 외교비서관 등이 참석했다.

일본 측에서는 우리야 히로시 관방부 장관, 아키바 다케오 국가안전보장국장, 미즈시마 고이치 주한일본 대사, 후나코시 다케히로 외무성 외무심의관, 세리자와 키요시 방위성 방위심의관, 나마즈 히로유키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 호사카 신 경제산업성 경제산업심의관, 오쓰루 데쓰야 총리 비서관, 요시히로 도모코 외무성 북동아시아 제1과장 등이 배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