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당권 잠룡’ 경쟁 가속…한동훈엔 견제 모드

입력 2024-05-24 16:1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22대 국회의원 당선자 총회에서 안철수(왼쪽), 나경원 당선인이 인사를 나누고 있다. (뉴시스)

이르면 7월 말 열릴 전당대회를 앞두고 국민의힘 주요 당권 주자들의 존재감 과시와 물밑 경쟁이 심화하고 있다.

24일 정치권에 따르면 여당 차기 당 대표 주자론 나경원 전 원내대표, 안철수·윤상현 의원, 유승민 전 의원,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 등이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아직 모두 출마 여부는 밝히진 않은 상태다.

이들은 연금개혁 등 주요 정책 현안에 목소리를 내며 존재감을 각인시키고 있다. 나 전 원내대표, 안 의원, 유 전 의원은 전날 정부가 ‘소득대체율 45%’를 제시했다고 주장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일제히 비판했다.

나 전 원내대표는 자신의 SNS에 “이 대표가 또 국민들을 상대로 거짓말을 하고 있다”며 “연금개혁에는 조금 더 내고 많이 받는 마법은 없다. 그런 마법이 있다면 그것은 매직(Magic)이 아닌 트릭(Trick), 속임수”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졸속 추진이 아닌 소득대체율, 미래세대 부담, 저출산 등을 충분히 고려해 22대 국회에서 여야 합의 처리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 의원도 이 대표가 영수회담을 제안한 것을 두고 “참으로 뜬금없는 일”이라며 “이 대표가 평소 연금개혁에 관심이 없었던 것을 생각하면 기가 막히기도 한다”고 짚었다. 유 전 의원 역시 SNS 메시지를 통해 “윤석열 정부는 국회에 24개 안과 자료만 잔뜩 던졌을 뿐, 정부의 단일 안을 제시한 적이 없다. 정부안이라는 이 대표의 말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거들었다.

최근 이 대표가 이틀 연속 연금개혁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상황에 적극적으로 입장을 낸 것이다. 당권주자들 사이 물밑 신경전이 가열되고 있단 관측이 나온다.

특히 나 전 원내대표는 최근 저출산과 연금개혁 관련 세미나를 열었는데, 그 자리에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 등 지도부와 당선자가 대거 몰리면서 세력 확장에 나섰단 평가도 나왔다. 이외에도 그는 당선자 및 당내 인사들과 식사를 하며 교류를 늘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 전 의원은 강연 등을 다니며 정치 보폭을 확대하고 있다. 이달 2일 인천대에서 ‘청년의 미래와 정치’를 주제로 강연한 데 이어, 일주일 뒤 연세대 신촌캠퍼스에서 ‘정치 리더의 조건’ 강연을 진행했다. 이를 두고 청년층을 끌어안기 위한 행보란 해석도 존재한다.

수도권 5선인 윤 의원도 총선 이후 거의 매주 세미나를 열어 보수 재건 방향을 의제로 띄우고 있다. 그는 이날 진보 진영 인사들을 초청해 6번째 세미나인 ‘진보가 보는 보수’를 개최했다.

▲1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헌정문 앞에 한동훈 국민의힘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응원하는 문구가 적힌 화환이 나란히 놓여 있다. (뉴시스)

윤 의원은 그 자리에서 “전당대회 전에 반드시 백서를 발간해 왜 궤멸적 참패를 했는지 이유와 배경, 공천은 제대로 됐는지 사천은 없었는지 낱낱이 밝히고 기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당대회 시기’는 총선 참패 책임론에서 자유롭지 못한 한 전 위원장의 전대 출마와 엮여 민감한 사안으로 꼽힌다.

한 전 위원장의 출마 여부는 최대 관심사 중 하나다. 총선 참패 후 잠행을 이어가던 한 전 위원장도 최근 ‘해외직구 금지’ 논란 등 각종 현안에 대해 입장을 내놓으며 기지개를 켜고 있다. 특히 대통령실과 각을 세우는 방향으로 존재감을 드러내면서 출마 의지를 굳힌 게 아니냔 해석이 나온다.

그가 차기 당 대표에 출마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당권 주자뿐 아니라 여야 대권 주자들이 집중포화를 쏟아내고 있다.

한 전 위원장을 비롯해 유 전 의원 등이 해외직구 정책 혼선을 비판하자 20일 오세훈 서울시장은 “정책 전체에 큰 문제가 있는 것처럼 지적하는 것은 여당 중진으로서의 처신에 아쉬움이 남는다”고 했다. 해외직구 금지 조치에 목소리를 낸 이들을 겨냥한 것이다.

그러자 한 전 위원장은 하루 뒤인 21일 “서울시장께서 저의 의견 제시를 잘못된 ‘처신’이라고 하셨다”며 “자유민주주의 사회에서 건설적인 의견 제시를 '처신' 차원에서 다루는 것에 공감할 분 많지 않을 것”이라고 맞받아쳤다.

유 전 의원도 가세했다. 그는 21일 한 전 장관과 오 시장 설전을 겨냥해 “당초 주제였던 KC 미인증 해외직구 금지는 어디론가 사라지고 이젠 SNS만 남았다”며 “여당 정치인이 SNS로 의견 제시를 하는 것은 필요 최소한에 그쳐야 한다”고 비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