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위원들, ‘매파’ 본색으로 시장에 ‘찬물’…골드만삭스 CEO “올해 금리인하 가능성 제로”

입력 2024-05-23 14:5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5월 FOMC 회의록, 예상보다 매파적
금리 유지 물론 추가 인상 가능성도 시사
뉴욕증시 3대 지수 일제히 하락
솔로몬 CEO “높은 물가, 소비 경제에 부담주기 시작”

▲데이비드 솔로몬(오른쪽) 골드만삭스 최고경영자(CEO)가 22일(현지시간)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대에서 열린 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보스턴(미국)/로이터연합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위원들이 기준금리를 당분간 유지할 뜻을 시사하는 등 ‘매파’ 본색을 보이면서 시장에 찬물을 끼얹었다. 골드만삭스의 데이비드 솔로몬 최고경영자(CEO)도 올해 연준이 금리 인하에 나설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22일(현지시간) 미국 투자 전문매체 배런스에 따르면 연준이 이날 공개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록은 “위원들은 1년간 인플레이션이 완화했지만, 최근 몇 달간은 목표치인 2%를 향한 추가 진전이 부족하다고 봤다”며 “최근 월별 지표를 보면 상품과 서비스 인플레이션이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 “위원들은 인플레이션 위험에 매우 주의를 기울였고 경제 전망과 관련한 불확실성에 주목했다”며 “여러 위원은 인플레이션 위험이 현실이 된다면 정책을 더욱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언급했다”고 설명했다.

양적긴축 감속에 대한 이견도 있었다. 연준은 지난달 30일~이달 1일 열렸던 FOMC에서 내달부터 국채에 대한 월간 상환 한도를 600억 달러(약 82조 원)에서 250억 달러로 줄여 보유 채권 축소 속도를 늦추기로 했다. 회의록은 “대부분 위원은 6월부터 국채 보유량을 좀 더 천천히 축소하기로 한 결정에 지지를 표명했다”면서도 “몇몇 위원은 결정된 것보다 조금 더 높은 상환 한도를 지지할 수도 있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높다는 평가와 함께 일부 위원이 추가 긴축을 시사했다는 소식에 투자자들은 실망했다. 뉴욕증시 3대 지수와 국제유가가 일제히 하락했다.

인디펜던트어드바이저얼라이언스의 크리스 자카렐리 최고투자책임자(CIO)는 “회의록의 매파적 어조는 금리를 높은 수준으로 더 오랫동안 유지한다는 공식적인 선언”이라고 분석했다. 무디스애널리틱스의 매트 콜리아르 이코노미스트는 “회의록에 대한 시장의 초기 반응은 다소 부정적”이라며 “이는 향후 통화 정책 방향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솔로몬 CEO는 올해 연준이 아예 금리를 인하하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이날 보스턴대에서 열린 행사에서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설득력 있는 데이터를 아직 보지 못했다”며 “현재 인하 가능성은 제로(0)”라고 강조했다.

높은 인플레이션이 소비 경제에 부담을 주기 시작했다는 점도 지적했다. 그는 “인플레이션은 누적되기 때문에 모든 게 더 비싸진다”며 “기업들은 소비자 행동에 변화가 생겼다는 것을 보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어 “소비자 행동 변화는 6개월 전과 비교했을 때 실질적이고 명백하게 경기둔화 위험을 높였다”고 경종을 울렸다.

반면 연준을 좀 더 지켜보자는 의견도 있었다. LPL파이낸셜의 제프리 로치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시장은 더 엄격한 정책을 수용하려는 위원들로 인해 긴장할 수 있지만, 지난 FOMC 회의 때에는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발표되지 않았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고 짚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