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회복모멘텀 강화” 한은, 경제성장률 2.6%로 올려…물가 전망은 ‘유지’ [종합]

입력 2024-05-23 13:3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은, 23일 경제전망 발표…경제성장률 2.1→2.5% 올려
경상수지 520억→600억 달러 조정…상품수지 707억 달러 예상
소비자물가 2.6%·근원물가 2.2% 유지…“상방 압력 커졌지만 조정할 정도 아니야”

(한국은행)
한국은행이 올해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을 대폭 올렸다. 반면 소비자물가는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한은은 23일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GDP 증가율(이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1%에서 2.5%로 0.4%포인트(p) 올렸다. 상반기 성장률은 기존 2.2%에서 2.9%로 0.7%p나 올렸고, 하반기는 2.0%에서 2.2%로 0.2%p 상향 조정했다. 내년 경제성장률은 기존보다 0.2%p 내린 2.1%로 내다봤다.

한은은 “국내경제는 수출의 회복모멘텀이 강화된 데다 소비 흐름도 당초 예상보다 개선됨에 따라 2월 전망 2.1%을 상당폭 웃도는 2.5% 성장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한은은 올해 경상수지 전망치도 기존 520억 달러에서 80억 달러 상향 조정한 600억 달러로 전망했다. 상품수지는 75억 달러 상향 조정한 707억 달러로 예상했다.

1분기 수출 증가세가 IT뿐만 아니라 비IT 부문으로 확산되고 있고, 이에 따른 파급효과가 점차 소비 등 내수로 이어지는 모습을 보였다고 주목했다. 한은은 “향후에도 AI 수요 확산, 글로벌 제조업경기 회복 등에 힘입은 양호한 수출이 경기 개선흐름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다만 2분기 성장은 1분기 내수 부문에 서의 일시적 요인의 영향이 약화되면서 조정될 전망이다. 소비 등 내수는 물가 둔화, 기업 수익성 증가 등에 따른 가계 소득여건 개선에 힘입어 하반기부터 점차 회복세가 뚜렷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한은은 “성장흐름을 보면 2분기에는 건설투자는 감소하고, 소비는 둔화되는 한편 순수출 기여도가 축소됨에 따라 조정되었다가 하반기에는 다시 회복세를 이어갈 것”이라며 “2분기 순수출 기여도는 수입이 큰 폭 증가함에 따라 전분기에 비해 줄어들 것으로 보이나, 대외여건 개선에 따른 견조한 수출증가세가 여전히 경기개선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분석했다.

한은은 소비자물가와 근원물가 연간 전망치를 각각 2.6%, 2.2%로 유지했다. 상반기(소비자물가 2.9%, 근원물가 2.4%)도 바꾸지 않았다. 그러나 하반기 예상치는 소비자물가 2.3%에서 2.4%로, 근원물가는 2.0%에서 2.1%로 각각 소폭 올렸다.

한은은 올해 물가에 대해 “지난 전망보다 상방압력이 다소 커진 것으로 평가되나 2월 전망치를 조정할 정도는 아니다”라고 했다. 경제성장률을 0.4%p 올린 것과 달리 소비자물가는 그대로 유지한 것이다.

한은은 “국내 성장세가 당초 예상을 웃돌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유가·환율 등 공급측 상방압력도 커지면서 2분기 이후 물가상승률은 지난 전망수준을 소폭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다만, 근원물가가 긴축적인 통화정책 등의 영향으로 둔화흐름을 이어가는 가운데 정부의 물가안정대책 등이 상방압력을 제약하면서 연간 상승률은 지난 전망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내년중 소비자물가 및 근원물가 상승률은 유가 및 농산물가격 오름세 둔화, 비용상승압력 완화 등으로 각각 2.1%, 2.0%로 낮아지면서 지난 전망 수준에 부합할 전망”이라고 부연했다.

한은은 유가 전망치도 올렸다. 올해 배럴당 평균 브렌트유가는 85달러로 기존보다 2달러 상향 조정했다. 반기 기준으로도 상반기는 80달러에서 85달러로 5달러 올렸고, 하반기는 85달러를 유지했다.

민간소비 증가율, 내년 2.3% 전망…건설투자는 감소 예상

한은은 민간소비 개선 흐름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진단했다. 올해 민간소비 증가율을 기존 1.6%보다 0.2%p 높은 1.8%(최근 10년 평균 2.0%)로 예상했다. 내년에는 2.3%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은은 “1분기중 민간소비는 양호한 기상 여건, 휴대폰 조기 출시 등으로 각각 의복(준내구재)·차량연료(비내구재), 통신기기(내구재)를 중심으로 증가폭이 상당폭 확대됐다”며 “앞으로 민간소비는 일시적 요인이 해소됨에 따라 증가세가 둔화된 뒤 완만한 회복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반면 건설투자에 대해서는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주거용·상업용 건물을 중심으로 한 입주물량 축소와 신규착공 부진 지속의 영향으로 공사 물량 감소가 본격화된 영향을 받을 것이란 분석이다.

한은은 “IT 경기호조에 힘입은 공장 증설 가능성, 부동산 PF 구조조정 관련 불확실성 등이 각각 상·하방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다”며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건설투자는 올해 2.0% 감소하고 내년에도 1.1%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진단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