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당선인 워크숍 첫 특강서 팬덤정치 질문 쏟아져

입력 2024-05-22 20: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2일 충남 스플라스리솜에서 열린 제22대 국회 더불어민주당 당선인 워크숍에서 이재명 대표와 박찬대 원내대표, 당선인들이 박수를 치고 있다. (연합뉴스)

22일 열린 더불어민주당의 비공개 당선인 워크숍에서 전우용 역사학자가 ‘한국의 민주주의와 시민 그리고 민주당’이란 주제로 첫 특강을 진행했다. 이 강연에선 팬덤정치와 관련한 질문이 쏟아졌다.

윤종군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강연이 끝난 후 기자들과 만나 "서영석 의원은 팬덤정치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질문했고,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장을 맡고 있는 남인순 의원은 시대의 변화 속에 당원 조직이 시민들의 요구를 어떻게 담아내는 게 좋을지 질문했다"고 밝혔다.

이어 "최민희 의원도 대의민주주의와 정당 활동에 참여하는 적극적 지지자 간의 충돌하는 입장의 해결책을 질문했다"며 "박선원 당선자는 본인이 생각하는 민중운동가에 대한 본인의 견해를 압축적으로 전달했다"고 설명했다.

또 "박찬대 원내대표는 본인이 정치에 참여한 계기가 고 노무현 대통령의 어록인 '깨어있는 시민이 민주주의의 최후에 보루' 때문인데, 본인의 삶이 역사적 맥락에서 어땠는지 강연을 통해 알게 됐다고 말했다"고 했다.

윤 원내대변인은 "전 박사의 강연은 대한민국 민주주의 발전의 역사를 설명하고 팬덤정치, 당원 주권 정치에 대한 고민을 정리해주는 명강의였다"면서 "많은 의원들이 만족한 시간이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전 박사는 연예인들의 팬덤 문화처럼 정치를 통해 세상을 바꾸기 위해 정당에 가입하는 것이 국민적인 흐름이고 문화가 돼 있다면서 그것을 강성 지지자와 같은 프레임으로 진단하면 답을 찾을 수 없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특히 "전 박사는 지금 민주당은 대중의 변화를 어떤 수위와 속도로 반영해야 하는지 혼란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해답을 가진 정당과 지도자가 없기 때문에 그걸 찾는 것을 지금부터 해야 하고, 그 책임이 이 자리에 있는 당선자들에게 있다고 강하게 얘기했다"고 말했다.

이어 "전 박사가 용어가 갖는 프레임의 성격도 지적했다"며 "국회라는 용어는 과거처럼 '민회'라는 표현이 적절하고, 국회의원도 '선량(백성 중 선출된 사람)'이 가장 적합한 표현이라고 주장했다"며 "국회의원이라는 프레임이 생기며 본인 위치가 왜곡되는 인식이 생기는 것 같다고 진단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전 박사는 당선자들에게 과거 만민공동회에서 백정이라는 가장 천한 직업을 내세운 정신을 잘 새겨야 한다고 했다"며 "낮은 사람, 천한 사람을 가장 먼저 생각하는 22대 국회 당선자들이 됐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