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21일 英 총리와 AI정상회의 공동 주재...‘안전‧혁신‧포용’ 합의문 추진

입력 2024-05-20 15:4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G7‧호주‧싱가포르 정상 초청...중국 정상은 불참
대통령실 “작년 영국 회의 참석자 연속성 고려”

▲왕윤종 국가안보실 제3차장이 2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AI 서울정상회의와 관련해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리시 수낵 영국 총리와 공동으로 AI(인공지능) 서울 정상회의를 개최한다고 20일 대통령실이 밝혔다.

왕윤종 국가안보실 3차장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번 AI 서울 정상회의에서 각국 정상은 글로벌 AI 기업 CEO와 안전성, 혁신, 포용성 등 AI의 핵심가치를 기반으로 한 거버넌스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며 이같이 전했다.

왕 차장은 “지난해 영국에서 주최된 첫 회의는 안전성에 초점을 뒀다면 이번 회의는 포용과 혁신까지 의제를 확대하는 것”이라며 “이런 논의를 바탕으로 21일 정상 세션에서는 안전하고 혁신적이고 포용적인 AI를 위한 합의문 채택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22일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영국 과학혁신기술부 장관과 공동으로 장관 세션을 주재하고, 아울러 우리 외교부와 과기부가 공동 주최하는 AI 글로벌 포럼이 같은 날 동시에 개최돼 전 세계 AI 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다양한 시각을 논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왕 차장은 “우리나라는 독자적 초거대 AI 모델을 보유하고 있다”며 ICT(정보통신기술), 반도체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디지털 선도국으로 윤 대통령의 AI 서울 정상회의 주최 배경으로 이런 일련의 디지털 AI 구상과 우리 기업의 선도적 디지털 기술력을 국제사회가 인정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영국에서 열린 회의와 동일하게 G7(주요 7개국) 정상과 싱가포르, 호주 정상이 초청됐다. 다만 중국 정상은 참석하지 않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정상 세션에 중국은 참여하지 않는다”며 “작년에 영국 정상회의 참석자를 중심으로 연속을 가지는 방향에서 논의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장관 세션에는 중국 측에 초청장을 보냈고, 중국 측에서 마지막에 수락해 참석하게 됐다. 정상급 세션과 장관급 세션의 참여자가 다르다”고 부연했다.

중국은 지난해 영국에서 열린 AI 정상회의에서 채택한 안전한 AI를 개발하자는 ‘블레츨리 선언’에 참여하긴 했으나, AI 제품 안정성 검사 부분에는 합의하지 않았고 둘째날 회의에도 불참한 바 있다. 영국은 당시 미중 갈등을 고려해 중국을 첫째날 회의에만 초청했다.

AI 서울 정상회의에는 이외에도 UN, EU(유럽연합),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등 국제기구 수장과 AI 산업을 이끄는 핵심 글로벌 기업인 삼성, 네이버, 구글, 아마존,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오픈AI 등도 초청됐다.

박상욱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은 “영국에서 열린 1차 회의에서 각국은 위험을 평가·관리하기로 합의하고 안전연구소 설치와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등 이행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며 “이번 회의를 통해 안전에 대한 글로벌 협력을 더 공고히 하고 기업들이 이에 동참하도록 촉구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또 “이번 회의에서는 AI 혁신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는 한편, 자유롭고 개방적인 혁신 생태계를 촉진 위한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라며 “계층 간, 국가 간 격차 해소를 위한 노력을 강조하는 한편 미래세대에 지속가능한 AI를 물려주기 위한 방향도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