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10년 만기 국채 금리 한때 0.975%...11년 만의 최고치

입력 2024-05-20 15:1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03년 YCC 정책 재조정 당시와 비슷한 상황
대규모 금융 완화책 축소 효과로 금리 상승

▲일본 엔화. 뉴시스

20일 일본 채권시장에서 장기금리의 지표가 되는 10년 만기 국채 금리가 한때 0.975%까지 상승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보도했다. 이는 2003년 5월 이후 11년 만에 최고치다. 닛케이는 “일본이 17년 만에 기준금리를 인상해 마이너스 금리에서 벗어난 데에 이어 추가 금리 인상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이번 장기금리 상승 원인 중 하나로 일본은행(BOJ)의 수익률곡선제어(YCC) 정책 폐지가 꼽힌다. 닛케이는“2003년 장기금리가 0.97%로 상승했던 상황과 비슷하다”며 “당시 일본은행이 YCC를 재조정해 금리가 급등했다”고 설명했다.

YCC는 일본에서 ‘장단기 금리 조작’이라고 불리며 10년 만기 일본 국채 금리를 ‘제로(0)’% 정도로 유도하는 정책이다. 일본은행은 3월 대규모 금융 완화책 기준이 돼 온 YCC 정책을 폐지했다.

아울러 일본은행의 장기국채 매입 규모 축소 발표도 장기금리 상승의 요인으로 꼽혔다. 일본은행은 만기까지 남은 기간이 5년 이상 10년 이하인 국채 매입 예정액을 기존보다 500억 엔(약 4300억 원) 적은 4250억 엔으로 조정했다. 국채 매입액을 줄이면 금리가 상승해 엔화 가치가 올라갈 수 있기 때문이다.

엔·달러 환율은 올해 1월 140엔대 수준이었으나 지난달 34년 만에 처음으로 160엔을 돌파하고 나서 지금도 155엔대에 거래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