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제조업 훈풍 기대…반도체·화학 업황 전망 '맑음'

입력 2024-05-20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산업연구원, '산업경기 전문가 서베이조사 5월 현황·6월 전망' 발표
업황 전망 PSI 전월 대비 늘며 6개월 연속 기준치 상회

▲삼성전기 세종사업장 관계자가 반도체 패키지 기판 생산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자료제공=삼성전기)

제조업에 불고 있는 순풍이 6월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반도체와 화학 업종의 업황 기상도는 화창한 '맑음'을 보였으며, 자동차와 조선, 섬유, 디스플레이 등도 기준치를 웃돌았다.

산업연구원은 5월 3~10일 138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전문가 서베이 지수(PSI·Professional Survey Index)를 조사한 결과, 6월 제조업 업황 전망 PSI는 114가 6개월 연속 100을 웃돌았다고 20일 밝혔다.

PSI는 100(전월 대비 변화 없음)을 기준으로 200에 가까울수록 전월보다 업황이 개선됐다는 의견이 많다는 것을, 반대로 0에 근접할수록 업황이 악화했다는 의견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6월 업황 전망 PSI는 5월(113) 대비 기준으로는 소폭 상승하며, 6개월 연속 기준치를 상회했다. 특히 전월 대비 기준으로는 3개월 만에 상승 전환한 것이 눈에 띈다.

세부 지표를 보면 내수가 109로 전월(110) 대비 소폭 줄었지만, 수출이 125를 기록해 2개월 연속 상승했다. 생산 역시 117로 기준치를 웃돌았다.

업종 유형별로는 정보통신기술(ICT) 부문에서 126을 기록해 기준치를 크게 웃돌았으며, 기계 부문(105)과 소재 부문(112) 역시 100을 동반 상회했다.

▲업종별 2024년 6월 경기 전망 (자료제공=산업연구원)

세부 업종별로는 반도체(185)와 화학(128) 등 업종에서 100을 훌쩍 넘었으며, 디스플레이(106), 자동차(111), 조선(106), 섬유(113) 등도 기준치를 웃돌았다.

휴대폰과 가전, 바이오·헬스 등은 100을 기록해 현황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으며, 기계(94), 철강(75) 등은 악화할 것으로 예상됐다.

한편, 5월 제조업 업황 현황 지수는 118를 기록하면서 연중 최고치를 기록한 데 이어 전월(108) 대비로도 두 자릿수 상승 전환했다.

제조업 현황 지수는 내수(108)와 수출(127)이 기준치를 동반 상회한 가운데 특히 수출이 상당 폭 상승하고, 생산(115) 역시 전월 대비 소폭 올랐다.

투자(104)와 채산성(112)은 각각 3개월과 5개월 연속 기준치를 상회했지만 재고(108)가 3개월 연속 하락하면서 재고 감소세로 평가됐다.

정부는 최근 한국경제에 대해 제조업・수출 호조세에 내수 회복 조짐이 가세하면서 회복 흐름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앞서 기획재정부는 17일 발표한 '5월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물가 상승세가 굴곡진 흐름 속에 다소 둔화된 가운데 제조업・수출 호조세에 방한 관광객 증가・서비스업 개선 등 내수 회복 조짐이 가세하며 경기 회복 흐름이 점차 확대되는 모습"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