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군, ‘유혈소요’ 누벨칼레도니 도로 통제권 회복 작전

입력 2024-05-20 08:5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파리올림픽 성화 봉송 일정 취소
일주일째…6명 사망ㆍ수백 명 부상

▲프랑스령 누벨칼레도니의 수도 누메아에서 15일(현지시간) 유혈소요 사태가 발생해 여러 건물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누메아/AP연합뉴스

남태평양의 섬나라 프랑스령 누벨칼레도니(영어명 뉴칼레도니아)에서 유혈소요 사태가 일주일째 이어지는 가운데 프랑스군이 수도 누메아와 외부 세계를 이어주는 도로 통제권을 되찾기 위해 대규모 작전을 시작했다고 프랑스24가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프랑스의 중무장한 헌병 600명이 이날 누벨칼레도니 수도 노메아와 라 톤투타 국제공항 간 도로 통제권을 회복하기 위해 파견됐다.

누벨칼레도니 주요 섬에서 공항을 오가는 항공편은 소요가 발생한 13일 밤 이후 운항이 취소됐다. 이로 인해 국내외 관광객 3200여 명의 발이 묶였다. 무역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파리 하계 올림픽(7월 26일~8월 11일)을 위한 성화 봉송도 취소됐다.

차츰 차분해지고 있으나 여전히 일부 지역에선 총격전이 벌어져 추가 사상자가 우려되고 있다. 현지 당국에 따르면 소요사태로 인해 이날 현재까지 경찰 2명을 포함한 6명이 사망하고 수백 명이 부상했다.

이번 폭동은 1853년 프랑스 식민지가 된 누벨칼레도니에서 독립 지지자들이 프랑스 정부의 뉴칼레도니아 선거법 개정 추진을 반대하면서 촉발됐다. 프랑스 의회가 13일 누벨칼레도니에 거주 중인 프랑스 시민권자들에 대한 현지 지방선거 투표권 확대 개헌안을 통과시킨 것이다.

기존에는 1998년 체결된 누메아 협정에 따라 누벨칼레도니 지방선거 투표는 1998년 이전에 현지에 거주했던 사람과 자녀에게만 허용됐다. 하지만 프랑스는 최근 해당 협정이 비민주적이라고 보고 누벨칼레도니에 10년 이상 거주한 사람에게도 투표권을 부여하는 방안을 추진한 것이다. 이에 친독립 성향의 카나크 원주민들을 중심으로 반대의 목소리가 높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