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산업 석·박사 인재 2000명 양성…40대 대학·14개 참여기관 선정

입력 2024-05-19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산업부, '2024년도 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사업' 선정 결과 발표

정부가 첨단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산업계가 원하는 석·박사 인재 2000명을 키운다. 이를 위해 40개 대학과 14개 참여기관을 선정, 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사업을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첨단산업 특성화대학원과 산업계 수요 기반 석·박사 전공 과정, 글로벌 연구자 양성을 위한 해외 협업 연구지원 등으로 구성된 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사업의 참여대학과 기관을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신규 과제에는 2468억 원이 투입되며, 국내 첨단산업 및 주력산업을 이끌 석·박사 인재 2000명이 양성될 계획이다.

먼저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학과를 신설해 석·박사 인재를 양성하는 첨단산업 특성화대학원은 지난해 한국과학기술원(KA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 성균관대 등 반도체 3개교를 선정한 바 있다. 올해는 △반도체 분야에 경북대와 포항공대, 한양대 △디스플레이 분야 성균관대 △배터리 분야 연세대, 포항공대, 한양대 △바이오 연세대를 선정했다.

이에 따라 경북대와 포항공대, 성균관대, 연세대, 한양대 등이 첨단산업 특성화대학원으로 선정됐으며, 대학당 연간 30억 원을 지원받아 5년간 920여 명을 양성할 계획이다.

▲주력산업 지원사업 선정컨소시엄 (자료제공=산업통상자원부)

한편, 로봇·미래차·인공지능(AI)·섬유 등 첨단 및 주력산업 분야의 석·박사 전공 과정을 지원하는 교육훈련 사업은 산업계 수요를 기반으로 기획된 13개 과제의 수행을 위해 대학 및 산업계 컨소시엄을 선정했다.

각 컨소시엄은 연간 평균 15억 원을 지원받아 기업과 연계된 산학프로젝트,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교육프로그램 등을 진행하며, 5년간 약 750명 내외 인재를 배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석·박사 인재를 글로벌 연구자로 양성하기 위해 국제 연구 수행 경험을 지원하는 해외 연계사업에는 △성균관대 △한양대 △연세대 △중앙대 △울산과학기술원 △서울대 △동국대 △가천대 △고려대 △국립공주대 △인하대 등 11개 대학이 선정됐다.

선정된 대학은 평균 23억 원 내외를 지원받아 3년간 약 330명의 인재들과 MIT·스탠포드대 등 해외 우수 연구기관과의 공동 연구·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산업계 수요에 맞는 석·박사 인재를 양성하고, 국내 고급인재가 글로벌 역량도 키울 수 있도록 사업을 지속해서 확대하는 등 정책적 역량을 결집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