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해외진출, 20년 간 10배 '↑'…지역 다변화 모색해야”

입력 2024-05-17 16:28수정 2024-05-18 10: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금융연구원 ‘은행의 지역별 해외진출 현황과 시사점’

은행권, 해외자산 20년간 10배 성장
현지법인, 2배 이상 늘어 61개 기록
“장기적 수익성 위해 지역 다변화 꾀해야”

(자료제공=금융연구원)
국내 금융사가 해외 진출 시 장기적으로 수익성 제고하기 위해서는 지역 다변화를 통한 리스크 분산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17일 이윤석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은행의 지역별 해외진출 현황과 시사점’을 통해 “경제안보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면서 진출 지역 리스크가 점차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위축됐던 은행권의 해외진출은 2000년대 중반 이후 다시 본격적으로 추진되면서 2022년 기준 자산규모와 점포수 기준 모두 과거에 비해 크게 성장했다.

은행권의 해외 자산은 지난 20여 년간 10배 가까이 성장했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인 1997년 567억 달러였던 해외 자산은 2022년에 2031억 달러에 이르렀다. 같은 기간 257개였던 점포 수는 5년 만에 103개로 축소된 후 207개까지 늘어났다. 27개까지 줄어들었던 현지법인의 경우 2배 이상인 61개를 기록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지역별 해외진출 추이를 살펴보면 자산의 경우 영국과 일본 등과 같은 선진국 비중이 줄어든 대신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과 같은 개도국 비중이 높아졌다”면서 “당기순이익도 선진국의 이익이 감소한 대신 베트남과 기타 지역의 이익이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자료제공=금융연구원)
2022년 기준으로 2005년과 비교해본 결과, 영국과 일본은 절반으로 줄어든 각각 9.9%와 8.5%를 기록한 반면 베트남과 인도네시아는 각각 7.7%와 7.1%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역별 진출이 비교적 골고루 분산돼 있는 은행의 경우 해외이익을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윤석 선임연구위원은 “안정적인 수익성을 위해 동남아와 같은 개도국뿐 아니라 선진국에서의 해외사업 유지도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선임연구위원은 “과거 많은 금융사들이 대거 중국으로 진출했지만, 미‧중 간 전략경쟁에 따른 여파로 중국 내 사업 리스크가 커지면서 ‘차이나 리스크’가 현실화된 바 있다”면서 “향후 금융사가 신규 혹은 추가 진출 지역 선정 시 지역 다변화를 통한 리스크 분산이 장기적으로 수익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전략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