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15일 20년 만의 총리 교체…로런스 웡, ‘아시아 중재자’ 역할 유지할까

입력 2024-05-13 16:1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51년 리콴유 가문 시대 끝나
트럼프, 김정은 만나게 했던 싱가포르
전 세계 분열 심화에 힘 발휘 쉽지 않아
고령화 따른 경제둔화등 내정 문제도 산적

▲리셴룽(왼쪽) 싱가포르 총리와 로런스 웡 총리 내정자. AFP연합뉴스
싱가포르가 20년 만에 총리를 교체한다. 싱가포르를 51년간 통치했던 ‘리콴유’ 가문 시대가 막을 내리는 가운데 로런스 웡 신임 총리가 아시아 중재자로서 싱가포르의 역할을 유지할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13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웡 부총리 겸 재무장관은 15일 리셴룽 현 총리의 뒤를 이어 4대 총리로 취임한다.

웡 신임 총리는 관료 출신으로, 통상산업부와 재무부 등에서 경력을 쌓아왔다. 2011년 정계에 진출해 코로나19가 한창이던 당시 방역 공동 책임자로서 엄격한 규제로 감염 확산을 막은 공로를 인정받기도 했다.

그는 기본적으로 리 현 총리의 노선을 이어갈 것으로 보이지만, 외교와 내정 양면에선 전임자와 다른 과제를 마주하게 됐다.

우선 외교에서는 세계적으로 분열이 강해지는 가운데 싱가포르가 ‘아시아 중재자’로서 역할을 유지하고 존재감을 보여줄지가 관건이다. 그간 싱가포르는 인구의 70%가 중국계이면서 동시에 엘리트 대부분은 미국과 유럽에서 유학한다는 특성상 전 세계 갈등을 중개하는 역할을 맡아왔다. 대표적으로 1993년 리콴유 중재로 싱가포르에서 중국과 대만 당국 간 첫 고위급 회담이 열렸고, 이는 이후 양국 실무회담의 장을 여는 계기가 됐다. 리셴룽 시대이던 2015년에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마잉주 당시 대만 총통이, 2018년에는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이곳에서 회담했다.

특히 리 현 총리는 2004년 3대 총리로 취임한 후 ‘리콴유 아들’이라는 높은 인지도와 강한 리더십을 토대로 국가 전략을 주도했다. 20년 통치 기간 싱가포르의 금융 허브 지위를 높인 것과 더불어 마리나 베이, 센토사섬 등 관광 자원을 개발해 많은 외국 기업을 유치하고 관광객을 불러들였다.

반면 웡 신임 총리는 리콴유 가문이 아닌 데다가 국제적 인지도가 낮아 국제사회에서 힘을 발휘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고 닛케이는 짚었다. 게다가 유럽과 중동에서의 전쟁과 북핵, 대만 문제가 산재한 상황에서 역할을 이어받게 돼 그의 외교적 능력은 취임과 함께 시험대에 오르게 됐다.

내정 면에서는 전례 없는 저출산과 고령화 문제가 있다. 싱가포르의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2023년 19.1%를 기록해 10년 전보다 7.4%포인트(p) 상승했다. 2030년에는 그 비율이 24%까지 이를 전망이다. 이는 노동력 문제와 사회 보장 비용 증가 등으로 이어지면서 경제 전망을 불확실하게 한다. 싱가포르는 1965년 독립 후 수십 년간 경제호황을 누렸지만, 고도성장기가 끝난 최근에는 경제성장이 둔화한 상태다.

한편 50년 넘는 가문 통치를 이어간 리 현 총리는 약속대로 자리에서 스스로 물러난다. 애초 70세가 되기 전에 후계자에게 자리를 물려주기로 했던 그는 2022년을 기준점으로 잡았지만, 코로나19가 창궐하면서 정권 이양 작업이 한동안 연기됐다. 그러다 지난해 코로나19 확산이 줄어들고 교통장관이 반부패 위반 혐의로 체포되는 등 정치 스캔들이 터지자 정권 이양에 속도를 냈다. 집권당 인민행동당(PAP)은 처음으로 리콴유 가문 없이 내년 총선을 치를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