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토류 틀어쥐던 중국…주요국 공급망 바꾸자 ‘점유율’ 급락

입력 2024-04-22 11:2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20년 이후 수출 감소세 직면
미국·호주·미얀마 등 대체국 부상

(그래픽=이투데이)

이차전지의 핵심 원료 가운데 하나인 희토류 공급망을 독점했던 중국이 시장점유율 하락에 직면했다. 미국과 호주ㆍ미얀마ㆍ베트남 등이 중국산을 대체할 희토류 생산국으로 떠오르는 한편, 주요국가가 중국을 대체할 생산국을 속속 확보했기 때문이다.

22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글로벌 주요국가가 희토류 공급망 다각화에 나서면서 90%에 달했던 중국 점유율이 10년 만에 70%까지 하락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2012년 전 세계 희토류 수출에서 중국 비중은 90%에 달했지만, 2022년 70%로 축소됐다.

희토류 수출 성장세도 둔화하고 있다. 둥관증권 조사에 따르면 2021년만 해도 중국의 희토류 수출 증가율이 38%에 달했지만, 2022년은 거의 변동이 없었고 지난해도 전년보다 7.34% 증가한 5만2306톤에 그쳤다.

희토류는 땅속에 있는 희소 금속으로, 란탄 계열 15개 원소ㆍ스칸듐ㆍ이트륨을 포함하는 17개 원소를 총칭한다. 반도체 등 첨단산업에 폭넓게 사용되는 필수 소재이기도 하다. 전기차는 물론, 신재생 에너지 가운데 하나인 풍력발전 등 친환경 산업에도 필수다. 강도가 일부 약하지만, 자성이 강한 ‘네오디뮴’ 자석의 원료이기도 하다.

때문에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접어들면서 희토류는 글로벌 산업계에서 ‘21세기 석유’로 불릴만큼 새로운 화두로 떠올랐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겨냥해 무역전쟁을 선포하자 중국은 희토류 산업에 대한 지배력을 대응 무기로 삼았다. 이를 앞세워 주요국가를 압박하기도 했다.

이후 희토류 소비국들이 잇따라 중국 이외의 공급망을 찾기 시작하면서 점유율이 하락하기 시작한 것이다. 실제로 미국을 비롯해 호주와 미얀마ㆍ라오스ㆍ베트남 등이 대체 생산국으로 떠오르기도 했다.

특히 USGS에 따르면 베트남의 경우 아직 캐내지 않은 매장량 기준, 중국 매장량의 절반을 넘는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희토류 부문에 대한 외국인 투자를 개방하기 위해 다양한 동남아시아 국가와 협정을 체결하고 있다. 미ㆍ중 무역갈등이 격화되는 가운데 중국 희토류 의존도를 낮추겠다는 전략이다.

베트남은 자국 희토류를 공급하는 조건으로 주요 외국기업의 현지화 전략도 추진 중이다. 희토류 공급을 조건으로 베트남에서의 생산설비를 구축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SCMP는 “세계적으로 희토류 수요는 증가 추세이지만 생산국이 다양해지면서 중국의 점유율이 점차 줄고 있으며 중국 지위가 도전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