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野추경 요구 일축…"지금은 악자 중심 타깃 지원 중요"

입력 2024-04-19 08:53수정 2024-04-19 09:3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하반기로 가면 물가 2% 초중반 안정화 예상"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자료제공=기획재정부)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8일(현지시간) 야당의 고물가에 따른 취약계층 어려움 해소 등을 위한 추경 편성 요구와 관련해 "우리나라의 성장률 전망 등을 봤을 때 지금은 민생이나 사회적 약자를 중심으로 한 타깃 계층을 향해서 지원하는 것이 재정의 역할"이라고 밝혔다.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 참석 계기로 미국을 방문 중인 최 부총리는 이날 워싱턴 D.C.의 IMF 본부 건물에서 한국 특파원들과 만나 "추경은 보통 경기침체가 올 경우에 하는 것이 일반적"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추경 편성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인 것이다.

최 부총리는 "지금 재정의 역할은 경기침체 대응보다는 좀 더 민생에 있다"며 "올해 예산을 잡을 때 그 어느 때보다 복지·민생 예산을 상당 부분 할애했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럼에도 부족한 부분이 있으면 저희가 기금을 변경한다든지 이·전용을 해서라도 올해 좀 더 확대할 건 확대하고 내년도 예산을 담을 때는 그런 부분들을 고려하겠다"고 했다.

물가 상황과 관련해서는 "민생의 어려움이라든지 물가 관련해서는 제가 항상 무겁게 느끼고 있다"면서도 "근원 물가의 경우 다른 나라와 비교해 보면 우리는 안정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당초 소비자 물가지수 상승률이 상반기에는 한 3% 위아래로 왔다 갔다 하고 하반기로 가면 2% 초중반으로 안정화될 것으로 생각했다"라면서 "불안 요인이 많이 있고 여러 상황은 더 봐야 되겠지만 근원 물가 자체는 계속 안정적으로 가고 있기 때문에 하반기로 가면 물가가 하향 안정화가 될 것이라는 당초 전망은 아직 유효하다"고 강조했다.

최 부총리는 원ㆍ달러 환율 급등세와 관련해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나름대로 상황별 대응 계획도 있다"며 "필요한 경우 국제 협력을 통해 외환시장에 메시지를 내기도 하는데 이번에 일본 재무장관과 면담이나 한미일 재무장관 회의가 그 일환"이라고 밝혔다.

통화 스와프 필요성에 대해서는 "통화 스와프는 유동성이 부족한 경우에 대한 대응 장치"라면서 "그런데 지금 외환 시장은 유동성 부족에 따른 게 아니라 글로벌 경제 환경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