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원·수술 연기 등으로 전문의약품 처방 감소, 수술용 장비 공급도 절반 수준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정책에 반발하며 전공의들이 대학병원을 떠나자, 대학병원과 관련된 제약·의료기기산업도 동반 위기를 겪고 있다.
8일 제약·의료기기 업계에 따르면, 대형병원에서의 진료와 입원·수술 등이 연기되거나 감소하면서 제약사와 의약품 유통업체, 의료기기 기업 등의 매출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병·의원 전문의약품 처방 감소로 인해 의약품 공급이 20~30%가량 줄었고, 수술용 장비 공급도 절반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제약업계 관계자는 “상급종합병원에 들어가는 전문의약품 공급이 크게 줄었다. 처방받을 환자가 없기 때문”이라며 “제약사 전체 파이 중에 수술환자, 입원환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그다지 높지는 않지만 이러한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를 대비해 지출을 최소화하라고 전달받았다”고 말했다. 제약 영업사원의 경우 병원에서 담당 교수를 만날 수 없어 영업·마케팅에 차질을 빚고 있다고 호소하고 있다.
의료 대란으로 글로벌 제약사들이 주관하는 미디어 세미나 등 행사들도 취소되고 있다. 의대 교수·전공의 등이 주축인 행사이다 보니 제대로 행사 진행을 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판단이다.
의료기기 업체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병원에서 이미 구매한 수술용 의료용 소모품이 사용되지 않으면서 새로운 매출이 발생하지 않고 있으며, 진단검사기기 등 의료기기의 경우에도 병원에 환자가 방문하지 않는 상황인 만큼 작동되지 않으면서 자연스레 매출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주요 대형병원들이 수입 감소로 비상경영에 돌입하며 앞으로 전망도 어둡다는 점이다. 실제 대한병원협회가 전국 500병상 이상 수련병원 50곳의 경영현황을 조사한 결과, 2월 전공의 집단 사직 이후 병원당 의료수입이 평균 84억7670만 원 줄어든 것으로 파악했다. 대형병원일수록 의료 수입 감소율은 더 도드라졌다.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등은 비상경영 체제를 선언하고 병상·인력 효율화에 들어갔다.
한 병원계 관계자는 “병원 경영이 힘들어지면서 현금 유동성이 점점 안 좋아지고 있다. 외부 업체 결제 지급을 우선으로 하고 있으나, 상황이 나아지지 않으면 더는 버티기 힘들다”라며 “병원에서 결제가 지연되면 소규모 영세한 의료기기 업체 등에서 받는 타격은 더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