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문제, 내수 부진 등 과제 산적
국방비, 3년 연속 7%대 증액
리창, ‘바지 총리’ 신세 재확인
개막식 연설 전 정부 목표 나와
![](https://img.etoday.co.kr/pto_db/2024/03/600/20240305144527_1995209_1200_800.jpg)
5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개막식에서 예정된 리창 국무원 총리의 정부 업무보고에 앞서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5% 안팎으로 설정했다고 발표했다.
목표치는 지난해와 같았다. 지난해의 경우 5.2%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당국은 목표 달성에 성공했다. 그러나 당시에는 2022년 코로나19 대유행이라는 변수로 인해 높은 기저 효과를 누렸던 만큼 전문가들은 ‘바주카포’ 같은 대형 경기부양책이 나오지 않는 한 올해 목표를 달성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ING그룹의 린 송 중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적당한 수준의 정책 지원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지만, 덜 우호적인 기저효과와 만연해 있는 소비 심리 저하, 부동산 시장 약세 등을 고려할 때 올해 5% 성장에 도달하는 것은 더 어려울 수 있다”고 내다봤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4/03/600/20240305144527_1995210_481_391.jpg)
이 외에도 중국은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 목표치를 3% 안팎으로 제시했고 재정적자 목표치는 국내총생산(GDP)의 3%로 설정했다. 또 지난해에 이어 올해 1조 위안(약 185조 원) 상당의 특별 국채를 발행하기로 했다.
관심을 모았던 국방예산은 전년 대비 7.2% 증액한 1조6655억 위안으로 결정됐다. 증가폭은 지난해와 같아 3년 연속 7%대 증가율을 이어가게 됐다. 거듭되는 경제 위기에도 대만 문제와 미국과의 갈등 등으로 인해 중국은 꾸준히 국방비를 늘려가고 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24/03/600/20240305144528_1995211_1200_800.jpg)
상하이 정법대 교수였던 정치학자 천다오인은 “중국은 과거 개방의 시대로 향하고 있었지만, 총리 기자회견 취소에서 알 수 있듯이 이젠 고립의 시대로 가고 있다”고 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