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 부담에…기업 10곳 중 6곳 “대출 줄이고 내부자금 충당”

입력 2024-02-21 09:3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대한상의, '기업의 자금조달 실태' 조사
기업 63%가 내부 유보금으로 자금조달
고금리에 따른 대출 상환 부담 영향
올해 대출 상환예정인 기업 72.6%

▲(출처=게티이미지뱅크)

국내 기업들이 주요 자금조달 수단으로 내부 유보금을 활용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고금리에 따른 대출 상환 부담이 커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매출액 1000대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자금조달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63%가 주요 자금조달 수단으로 ‘내부 유보자금’을 꼽았다고 21일 밝혔다. 외부 자금조달 방식인 ‘금융권 차입’은 33.7%, ‘회사채·주식 발행 등 직접금융시장’은 2.3%로 나타났다.

▲(제공=대한상의)

앞서 대한상의가 2022년 8월 대·중견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기업들이 주요 자금조달 수단으로 ‘금융권 차입’(48.2%)을 ‘내부 유보자금’(27.9%)보다 더 많이 응답했던 것과 대비된다. 기업들이 외부자금 조달에 대한 의존도를 줄인 것에 대해 상의는 고금리 여파가 본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은행으로부터 차입한 고금리 대출에 대해 현재 이자 또는 원금을 상환하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이 53.3%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안에 원리금 상환이 도래할 예정이라는 기업도 19.3%로 기업 10곳 중 7곳이 올해 고금리 대출 상환 청구서를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은 자금조달·운용상의 주요 애로사항으로 ‘고금리에 따른 금융비용 증가’(69.3%)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운영상 자금 수요 증가(25.0%) △은행의 대출심사 강화(22.7%) △만기도래 상환 부담(10.0%), △기업 신용등급 하락(9.7%) 순이었다.

▲(제공=대한상의)

기업들은 조달한 자금을 설비투자보다는 인건비 등 생산·운영비용 지출에 많이 투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자금조달 목적에 관한 질문에 ‘인건비 등 운전자금 수요’가 72.0%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공장설비 등 시설투자’(50.7%), ‘현금 유동성 확보’(27.7%), ‘원리금 등 채무상환’(12.0%) 등의 응답이 뒤따랐다.

대내외 불확실성이 여전한 상황에서 고금리에 따른 자금조달 비용 증가까지 더해지며 기업들은 신규 투자 및 사업 확장을 위해 무리하게 자금을 조달하기보다 내부 유보금으로 충당하거나 사업 운영에 필요한 운전자금에 대한 조달을 우선시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고금리 기조가 언제까지 지속될지에 대해서는 ‘올해 하반기’(38.3%)라고 답한 기업이 가장 많았고 ‘올해 상반기’도 15.7%로 54%가 올해 안에 고금리가 해소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내년 상반기’(25.3%), ‘내년 하반기’(11.3%), ‘내후년 이후’(9.4%) 등 해를 넘길 가능성이 있다는 답변도 46%에 달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고금리 기조를 버텨온 지 1년 이상이 지난 시점에서 실적이 부진한 기업들은 누적된 이자 부담으로 인해 한계에 다다른 상황일 것”이라며 “기준금리 인하가 본격화될 때까지 기업 금융비용 부담 완화를 위한 지원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