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로 주목받는 ‘양극성 장애’…호전·악화 반복

입력 2024-02-11 06: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꾸준한 약물복용우로 관리와 재발방지하면 일상생활 유지

▲넷플릭스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스틸컷. (사진제공=넷플릭스)

최근 드라마와 영화 등을 통해 실제 우리 일상 주변에서 겪을 수 있는 ‘양극성 장애’를 조명하며, 질환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졌다.

양극성 장애는 단순히 감정 기복이 심한 것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증상이 지속하지 않고 일정 기간 나타나고 호전되기를 반복하는 ‘삽화’의 개념이 더 정확하다.

윤현철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양극성 장애의 삽화에는 ‘조증‧경조증 삽화’와 ‘우울 삽화’가 있다”면서 “한동안 조증이나 경조증 상태에 있다가 어떤 시기에는 한동안 우울하고, 또 한동안은 괜찮은 상태가 반복적으로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양극성 장애는 과거 ‘조울증’이나 ‘조울병’으로 불리기도 했다. 윤 교수는 “우울증인 것으로 생각하다가 나중에 진단되는 경우도 많으며, 우울증보다 더 젊은 연령에서 발병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양극성 장애 환자가 조증의 상태일 땐 평소와 달리 기분이 매우 들뜨고 고양되며, 과하거나 충동적인 행동을 할 수 있다. 증상이 심할 땐 환각과 망상을 경험하기도 한다. 조증‧경조증 삽화일 때 행동이 극적이어서 주목을 받지만, 실제로는 우울 삽화가 더 길고 괴로운 경우가 많다.

국내 양극성 장애 환자는 꾸준히 늘고 있다. 11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질병소분류(3단 상병)통계를 보면 ‘양극성 정동장애(F31)’ 진료인원(입원·외래)은 2018년 9만4129명에서 2019년 10만5522명에서 1년새 1만 명이 늘었다. 이어 2020년 11만1851명, 2021년 11만9622명에 이어 2022년 양극성 장애 진료인원은 12만9663명을 증가했다.

양극성 장애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유전적‧생물학적‧환경적‧심리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다른 요인보다 생물학적 원인이 더 큰 것으로 알려졌다.

양극성 장애 치료는 약물 치료가 가장 중요하다. 약을 꾸준히 복용하면 사회생활, 일상생활을 잘 유지하는 사례도 있으나, 약을 임의로 끊고 재발을 반복하게 돼 삶이 힘들어지는 사례도 있다. 재발률이 상당히 높은 편이므로, 꾸준한 약물 복용이 가장 중요하다.

양극성 장애의 진단은 전문가와의 면담이 가장 중요하다. 심리검사가 참고가 될 수 있으며, 처음 발병 시에는 MRI, 뇌파, 피검사 등을 통해 다른 원인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양극성 장애는 꾸준히 관리하는 질환으로, 약이 가장 중요하다. 일상생활 수칙은 규칙적인 생활과 스트레스 관리 등이 있다.

윤현철 교수는 “흔히 조현병과 양극성 장애를 혼동하는 사람들이 있다. 양극성 장애 환자의 조증 삽화 시기에 나타나는 들뜨고 과한 행동이 조현병 환자의 주요 증상인 환청 등 환각과 망상 증상과 비슷하게 나타나기도 하기 때문”이라면서 “그러나 양극성 장애는 호전과 악화가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나고 시기별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 조현병과 구별된다”고 말했다.

이어 윤 교수는 “양극성 장애는 조증‧경조증‧우울 삽화를 반복하면서 괜찮은 시기도 경험하기 때문에 환자들이 증상이 심할 때는 꾸준히 약을 챙겨 먹지만, 증상이 나아지면 약 복용을 임의로 중단하기도 한다”면서 “그러나 증상이 좋아지더라도 당뇨, 고혈압처럼 꾸준히 관리하는 질환이라고 생각하고 꾸준히 약을 복용하는 것이 관리와 재발 방지, 일상생활에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