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ICT 수출, 183억달러 ‘2023년 중 최대’...“반도체 효과”

입력 2024-01-16 11:02수정 2024-02-16 09:2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반도체 수출 2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

▲ICT 수출 추이. 출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리나라 정보통신기술(ICT) 월 수출액이 지난해 12월 말 기준 182억6000만 달러(약 24조2456억 원)로, 지난해 월별 최대 수출 실적을 기록했다.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가 2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며 ICT 수출 증가를 견인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지난해 12월 수출액과 수입액이 각각 182억6000만 달러, 109억4000만 달러로 잠정 집계됐다고 16일 밝혔다. 수출액 기준으로는 지난해 월간 최대 실적이다. 이로써 무역수지는 73억1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하게 됐다.

수출 호조 배경에는 반도체가 있다. 지난해 10월까지 역성장했던 반도체 수출이 11월 두 자릿수 플러스 성장(10.7%)한 데 이어 12월에 19.3% 증가한 110억7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지난해 월별 최대 실적이다.

반도체 중에서도 메모리 반도체 수출이 호조를 보였다. 지난해 12월 메모리 반도체 수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57.5% 증가한 69억9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과기정통부는 “D램 및 낸드의 고정거래가격이 지난해 4분기 들어 4개월 연속 상승하는 등 단가 회복 흐름이 이어지면서 전체 반도체 수출 회복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시스템 반도체 수출은 파운드리 가동률 하락 등으로 14% 감소한 36억7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나머지 품목들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는 17억10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3% 증가했다. 모바일 수요 중심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증가 및 액정 디스플레이(LCD) 수출의 동시 증가로 인해 전체 디스플레이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5개월 연속 증가했다.

휴대폰은 전년 동기 대비 1% 줄어든 9억4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점진적 회복에 따라 완제품은 83.6% 증가했지만, 부품 수출은 9.5% 감소했다.

전자기기 및 데이터센터·서버용 보조기억장치 등 컴퓨터·주변기기는 29.6% 감소한 8억2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통신 장비도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인프라 투자 축소 영향으로 25.5% 감소한 1억9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중국(홍콩 포함) 16.3% 증가했고, 베트남(4.3%)과 미국(2.5%)은 증가했다. 반면 유럽연합(-8.0%), 일본(2.7%) 등은 감소했다.

한편, ICT 수입은 주요 부품(반도체 등) 수입 감소 영향에 전년 동월 대비 7.2% 감소한 109억4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