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소상공인 사업체 7000개 늘어…사업체당 부채도 1100만 원↑

입력 2023-12-27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매출·영업이익 늘었지만 종사자는 6만 여명 줄어

(사진제공=중소벤처기업부)

지난해 소상공인 사업체가 7000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체당 매출액과 영업이익도 증가세를 보였으나 종사자는 6만여 명이 줄었다. 소상공인 부채 증가세도 이어져 사업체당 1100만 원의 빚이 늘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통계청은 27일 이러한 내용의 ‘2022년 소상공인 실태조사’ 잠정결과를 공동 발표했다. 조사대상은 소상공인 비중이 높은 제조업과 건설업,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 등 11개 산업의 약 6만5000개 업체다.

작년 소상공인 11개 주요 업종의 사업체, 종사자 현황을 살펴보면 소상공인 사업체 수는 412만5000개로 전년(2021년) 대비 0.2%(7000개↑) 증가했다. 업종별 사업체 수는 교육서비스업(3.3%, 6000개↑), 수리·기타서비스업(1.4%, 5000개↑) 등은 증가했으며, 숙박·음식점업(-1.3%, 1만 개↓), 예술·스포츠·여가업(-1.1%, 1000개↓) 등은 감소했다.

소상공인 종사자 수는 전년 대비 0.9%(6만1000명↓) 감소한 714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업종별 종사자 수는 교육서비스업(2.9%, 9000명↑), 예술·스포츠·여가업(2.0%, 3000명↑) 등에서 증가했으며, 도·소매업(-2.9%, 6만 명↓), 기타산업(-1.6%, 2만4000명↓), 제조업(-1.3%, 1만6000명↓) 등에서는 감소했다.

소상공인의 경영실적과 부채 현황을 살펴보면 사업체당 연 매출액은 2억34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4.0%(900만 원↑) 증가했으며, 연간 영업이익은 31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10.1%(300만 원↑) 늘어났다.

사업체 부채 보유비율은 59.3%로 전년(59.2%)과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사업체당 부채액은 1억85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6.1%(1100만 원↑) 늘었다.

창업 동기 조사에서는 ‘자신만의 사업을 직접 경영하고 싶어서’가 64.1%로 가장 큰 창업 동기로 꼽혔으며, 2순위는 ‘수입이 더 많을 것 같아서(28.9%)’, 3순위는 ‘임금근로자로 취업이 어려워서(5.4%)’로 나타났다.

소상공인이 체감하는 경영 애로사항(복수응답)은 경쟁심화(46.6%), 원재료비(39.6%), 상권쇠퇴(37.7%), 임차료(13.5%), 최저임금(10.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