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인천 이어 김포도 합류...순항하는 '기후동행카드'

입력 2023-12-07 13:18수정 2023-12-07 14:4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오세훈 서울시장과 김병수 김포시장이 7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 영상회의실에서 열린 서울-김포 기후동행카드 업무협약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두 시장은 2024 서울색인 '스카이코랄' 색상의 넥타이와 행커치프를 착용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서울시가 내년 1월 도입하는 ‘기후동행카드’ 사업에 김포시도 참여한다. 지난달 수도권 광역 지자체인 인천에 이어 서울시 인근 지자체 중 처음으로 김포시가 합류하면서 기후동행카드 사업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7일 오전 9시 35분 서울시청에서 김병수 김포시장과 ‘서울시-김포시 기후동행카드 참여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행정구역은 다르지만 생활권이 밀접한 두 지역이 시민들의 교통편의를 위해 협력하기로 한 것이다.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가 온실가스 감축·서민부담 완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9월 발표한 친환경 교통혁신사업으로 월 6만5000원에 지하철·버스·따릉이까지 무제한 이용할 수 있다. 내년 1월부터 5개월간 시범사업을 거쳐 하반기 본격 시행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번 협약으로 이용권역은 김포골드라인(6만5000원~7만 원), 김포 광역버스(10만 원~12만 원)까지 확장된다. 이동 패턴에 따라 선택권이 다양해져 기후동행카드 이용 효과도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시는 공동 생활권에 속하는 수도권 시민들의 교통 불편을 해소한다는 점에서, 서울 편입을 원하는 김포시는 시민들의 일상을 더 확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윈-윈 효과를 기대했다. 이를 반영하듯 두 시장은 2024 서울색으로 선정된 ‘스카이코랄’ 색상의 넥타이와 행커치프를 착용했다.

오 시장은 “그동안 수도권 주민들도 서울시민이라는, 특히 서울로 출퇴근하면서 경제활동을 하는 분들을 서울시민으로 보고 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게 시정의 기본 철학”이라며 “인천에 이어 김포시까지 기후동행카드로 연결돼 수도권 교통통합의 역사에서 굉장히 의미 있는 날”이라고 말했다.

김 시장도 “대중교통 이용하는 김포시민들 가운데 3분의 2가 서울로 출퇴근하고 있어 공동생활권 주민들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건 필요한 일”이라며 “김포시의 서울 편입을 위한 또 하나의 성과”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당초 서울시는 경기도와 인천시를 포함한 수도권 통합 운영을 추진했으나 두 광역지자체가 난색을 표하자 우선 추진으로 방향을 틀었다. '각자도생' 가능성이 커지면서 교통혁신 효과도 반감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그러나 지난달 인천시가 전격 동참을 선언하고, 김포시까지 합류하면서 인근 지자체로의 확대 가능성에도 물꼬가 트였다는 평가가 나온다. 오 시장은 “아직 발표할 단계는 아니라 어디라고 말하기는 이르지만 (참여를 두고) 복수의 지자체와 논의하고 있다”며 추가 합류 가능성을 시사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