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 이상 연체자, 1년 넘게 소비부진…지원 필요해”

입력 2023-12-02 07: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금융연구원, ‘고금리에 따른 한계차주의 소비부진 정도와 지속성’ 보고서

한 달 이상 연체를 경험한 대출자들은 연체가 해소된 이후에도 1년 이상 소비부진을 겪는 경향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재와 같은 고금리로 한계차주의 소비부진이 장기화할 위험이 있어 차주에 대한 부채관리 및 선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2일 한국금융연구원이 발표한 ‘고금리에 따른 한계차주의 소비부진 정도와 지속성’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1분기부터 2023년 2분기까지 30일 이상 원리금상환 연체를 경험한 차주의 소비경로를 추정한 결과, 연체가 발생하고 해소된 직후 1분기 소비수준은 평균보다 26% 낮게 나타났다.

이후 4분기가 지난 시점에서도 여전히 연체경험 차주들의 소비는 평균보다 18% 낮은 수준을 보였다. 한 번 연체에 진입한 경우 연체가 해소된 이후라도 장기간 소비여력을 낮추고, 연체가 1분기 이상 지속될 경우 소비수준의 회복시점이 더 지연될 수 있다는 것이다.

김현열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연체에 한 번 진입하게 되면 연체해소 이후에도 장기간 소비부진이 이어질 가능성을 보여준다”며 “고금리로 인한 한계차주의 소비부진이 1년 이상 장기화할 위험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연체 자체가 1분기 이상 지속될 경우 해당 차주의 소비가 평균 대비 20% 낮은 수준까지 회복되는 시점은 보고서에서 추정한 시점(연체 발생 이후 3분기가 지난 시점)보다 더 지연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 연구위원은 향후 경기 둔화가 예상보다 심화할 경우 한계차주 중 상환능력이 한시적으로 떨어진 차주에 한해 원리금 일부 상환 유예 등을 통해 부실을 막고 소비 여건을 지원해야 한다고 봤다. 이자 상환 부담이 급격히 가중되는 상황에서 한계차주로의 진입을 막기 위해선 차주 단위의 부채 수준 조정과 미래 소득 흐름에 대해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다만, 그는 “무차별한 대출상환 지원은 장기적으로 가계대출 시장의 자생적인 조정 기능을 약화할 위험이 있어 지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