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부채, 생산적인 투자로 이어진다면 우려할 필요없어”

입력 2023-11-06 16:5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금융硏 ‘2023년 금융동향과 2024년 전망 세미나’

▲한국금융연구원(KIF)은 6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2023년 금융동향과 2024년 전망 세미나’를 열고 종합토론을 진행했다. (손희정 기자 sonhj1220@)
“기업 부채가 최근 누적됐으나 생산적인 투자로만 이어진다면 기업부채에 대해 우려할 필요는 없다.”

6일 김성준 금융위원회 금융시장분석과장은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3년 금융동향과 2024년 전망 세미나’ 종합토론에서 기업부채에 대한 우려에 대한 질문이 나오자 이같이 답했다.

김성준 과장은 “자금이 조달돼서 어떻게 쓰이느냐, 기업 재무 사업성과를 얼마나 내느냐가 중요하다”면서 “기업부채는 가계부채와 다르게 봐야 한다. 기업 성장을 위해서는 어느 정도 자금공급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최근 은행권이 기업대출을 늘리면서 건정성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8월 말 은행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0.47%로 전월보다 0.06%포인트(p) 증가했다. 대기업대출과 중소기업대출 모두 연체율이 증가했다. 대기업대출 연체율은 0.13%로 전월 말보다 0.01%p 늘었고 중소기업대출 연체율(0.55%)은 0.06%p 증가했다.

김성준 과장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려와 관련해 “PF는 단기간에 해결할 수 없는 문제라 생각한다. 장기적으로 PF가 정상화될 수 있도록 돕고, 정상화하기 어려운 기업은 그 여파가 크지 않도록 구조조정에 나설 것”이라면서 “PF 업체를 무조건 살리는 것이 능사는 아니다. 다 쓰러지는 것도 능사가 아니다. 속도가 문제라고 생각한다. 속도를 유지하면서 연착륙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시장에 이상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지 치밀하게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성준 과장은 “고금리가 지속되면서 경기 회복세가 더딜 경우,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신경을 많이 쓰고 있다. 내년에도 고금리가 유지되고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만큼 업무계획이나 경영계획, 가계라 하면 부채를 조달할 때 이러한 상황을 반영했으면 좋겠다는 바람이 있다”고 당부했다.

한국금융연구원(KIF)은 이날 2023년 금융동향과 2024년 전망 세미나를 열고 2024년 경제 및 금융시장 전망을 발표했다. 이어 권효성 블룸버그 한국 수석이코노미스트, 김성준 금융위 금융시장분석과장, 김영훈 기획재정부 종합정책과장, 박석길 JP모건 수석이코노미스트, 유종우 한국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 미래에셋글로벌인베스트먼트 아시아ㆍ퍼시픽리서치 헤드가 참석해 종합토론을 진행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