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은행, 지난해 순익 22조4천억 '역대 최대'…전년 比 5.5%↑

2024년 국내은행 영업실적

이자이익은 59.3조…증가율 둔화

(자료제공=금융감독원)
지난해 국내 은행들이 22조 원의 순이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이자이익 증가율은 전년 대비 크게 둔화했다.

14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국내은행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국내은행의 순이익은 22조4000억 원으로 전년(21조2000억 원)보다 1조2000억 원(5.5%) 증가했다.

주가연계증권(ELS) 배상비용(1조4000억 원)에 따른 영업외손실 확대에도 불구하고, 대손 비용이 감소하면서 순이익이 늘었다.

지난해 국내은행의 총자산순이익률(ROA)은 0.58%로 전년(0.58%)과 같은 수준이다. 자기자본순이익률(ROE)은 7.80%로 전년(7.88%) 대비 0.08%포인트(p) 하락했다.

(자료제공=금융감독원)
국내은행의 이자이익은 59조3000억 원으로, 이자수익자산이 140조1000억 원 늘면서 전년(59조2000억 원) 대비 1000억 원 증가했다. 다만, 이자이익 증가율은 전년 대비 크게 둔화했다. 순이자마진(NIM)은 1.57%로 전년(1.65%) 대비 0.08%p 줄었다.

국내은행의 비이자이익은 6조 원으로 전년(5조8000억 원) 대비 2000억 원 늘었다. 시장금리 하락에 따라 유가증권매매이익등 유가증권관련이익(5조8000억 원)이 전년(5조 원) 대비 증가했다.

같은 기간 판매비와 관리비는 26조5000억 원에서 27조4000억 원으로 9000억 원 증가했다. 인건비는 16조5000억 원으로 6000억 원 늘었고, 물건비는 10조9000억 원으로 2000억 원 증가했다.

대손 비용은 전년(10조 원) 대비 3조1000억 원 감소한 6조9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2023년 중 대손충당금 산정방식 개선에 따라 대손충당금을 추가 적립한 기저효과 때문이다.

금감원은 "올해 미국 보호무역주의 심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취약부문 중심의 신용리스크 확대 우려도 지속하고 있다"면서 "은행이 위기 확대 시에도 본연의 자금중개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지속 유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