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연간 전망치 달성까지 ‘험로’…중동사태·中 부동산·날씨 등 변수 산적 [종합]

입력 2023-10-26 11:22수정 2023-10-26 14:4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3분기 GDP 속보치 0.6%, 3분기 연속 상승세…민간소비·수출 반등 영향
연간 성장률 전망치 1.4% 달성하려면 4분기에 0.7% 나와야 ‘안심’
이-하 사태 유가 영향·동절기 한파 원유 수입·中 부동산 리스크 불확실성 커

(한국은행)
한국은행이 올해 예상한 경제성장률(1.4%) 달성까지 험로가 예상된다. 이스라엘-하마스 사태 뿐만 아니라 중국의 부동산 경기, 날씨(동절기 한파) 등 변수가 산적해 있기 때문이다.

한은은 26일 ‘2023년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을 통해 3분기 GDP는 전분기대비 0.6% 성장했다고 발표했다. 전분기와 같은 수치다. 작년 4분기(-0.3%) 마이너스에서 올해 1분기(0.3%) 반등한 이후 3분기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신승철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장이 26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2023년 3/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의 주요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한국은행)
전분기에 마이너스(-)였던 민간소비와 수출이 플러스(+)로 전환한 영향이 컸다. 3분기 민간소비는 음식숙박, 오락문화 등 서비스를 중심으로 전분기 -0.1%에서 0.3% 성장했다. 신승철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민간소비의 경우) 전체적으로 소비 주변 여건을 보면 카드 사용액도 계속 플러스로 나오고 있고, 고용지표도 나쁘지 않은 것 같다”면서 “민간소비는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회복속도는 완만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분석했다. 수출은 전분기 -0.9%에서 3분기 3.5%로 상승 전환했다. 반도체, 기계 및 장비 등을 중심으로 증가했다.

정부소비는 사회보장현물수혜가 늘어 0.1% 증가했고, 건설투자도 건물건설과 토목건설이 모두 늘어 2.2% 상승했다. 반면 설비투자는 기계류가 줄어 2.7% 감소했다. 신 국장은 “3분기 설비투자는 운송장비 항목은 늘었는데 반도체 장비가 줄어 전체적으로 감소했다”며 “기계류 중에서도 반도체 제조용 장비가 감소한 것은 증설이 마무리되가는 것으로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통관으로 봐도 반도체 제조용 장비 수입이 마이너스로 지속되고 있어 올해 계획했던 반도체 공장 증설이 마무리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며 “내년 같은 경우 반도체 제조 증설 계획이 많이 잡혀 있어서 반도체 IT를 중심으로 설비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업종별로는 농림어업은 축산업 등을 중심으로 1.0% 증가했고, 제조업은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 등이 늘어 1.3% 상승했다. 건설업은 건물건설, 토목건설이 늘어 2.4% 올랐고, 서비스업은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등이 줄었으나 문화 및 기타 서비스업 등이 늘어 0.2% 증가했다. 반면, 전기가스수도사업은 전기업을 중심으로 1.4% 감소했다.

4분기 0.7% 달성해야 연간 전망치 부합하는데…불확실성 커 ‘불투명’

한은은 올해 5월 연간 경제성장률을 기존 1.6%에서 1.4%로 하향 조정했다. 전망치 달성 가능성이 높게 점쳐졌으나 이달 중 이스라엘-하마스 사태가 발생하면서 불확실성이 짙어졌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이달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국제유가가 80달러 중반 정도 유지할 것을 가정하고 (내년) 2.2% 성장을 예측했다”며 “하지만 유가가 크게 올라가면 성장률을 수정해야 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한은이 연간 전망치를 달성하려면 4분기 GDP 수치는 0.7%이 나와야 한다.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봤을 때 0.6%대 후반이 나와도 전망치에 부합한다. 2분기와 3분기 GDP를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비교하면 3분기(0.60%)가 전분기(0.61%)보다 다소 낮아졌다. 신승철 국장은 “4분기 GDP 수치가 0.6%이면 1.4%가 나올 수 있고 안나올 수 있다”며 “0.7% 정도면 1.4%가 확실히 나온다”고 설명했다.

▲가자지구에서 22일(현지시간) 이스라엘군의 폭격으로 연기가 치솟고 있다. 가자지구(팔레스타인)/EPA연합뉴스
대외변수도 산적하다. 중동 정정 불안에 따른 국제유가 변화, 동절기 한파로 인한 원유 수입 규모, 중국 부동산 리스크 등 불확실성이 크다. 순수출의 플러스 기여도가 4분기까지 이어질지도 미지수다.

신 국장은 “11월에 경제전망할 때 (중국 부동산, 동절기 한파 등) 변수까지 고려할 것”이라며 “4분기가 동절기고 난방용 수요가 있어서 영향이 없지는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구체적 효과 및 불확실 전망은 다음(11월) 전망 때 할 것 것 같다”며 “중국의 부동산 경기는 대중 수출에 관련돼 있어서 중요한 변수”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신 국장은 “불확실하게 보이는 것은 이스라엘-하마스 사태 때문에 유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동절기 날씨 영향을 받아서 원유 수입이 갑자기 늘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수입은 원유가격 움직임, 원유 수입 수요 변화 등으로 불확실성이 많아 예측하기 어렵다. 4분기에 순수출 플러스 기여도가 지속될 것인가는 지금으로선 예단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